"서울시-市 교육청 수의계약률 높아"

이정훈 시의원, "담당자들 이해타산 맞물려 부정ㆍ비리 발생"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5-07-12 13:55:09

"1000만원 이상 땐 공개입찰하라"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이정훈 서울특별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새정치민주연합ㆍ강동1)이 12일 서울시와 시 교육청 등의 수의계약 실태 및 문제점 등을 지적하면서 개선책 마련을 요구했다.

앞서 이정훈 의원은 지난 10일 열린 시의회 제261회 정례회 시정질문에서도 이같은 문제를 지적한 바 있다.

이 의원이 서울시 실ㆍ국ㆍ본부 25개 기관, 12개 출연기관, 20개 사업소, 5개 공기업 및 공단, 서울시의회 사무처 등 63개 기관에 대해 최근 3년간(2012~2014년) 계약금액 1000만원 이상 물품구매, 용역, 공사, 민간위탁 등 계약현황과 서울시교육청 2014년 계약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4년 계약현황(1인 견적 수의, 제한경쟁, 일반경쟁, 기타) 중 1인 견적 수의계약 비율은 서울시 본청이 66.8%에 달했다. 특히 시 복지건강본부의 경우는 무려 90.9%에 이르렀다.

이밖에 투자기관 49.7%, 출연기관 36.2%, 공기업 및 공단 41.3%, 서울시의회 사무처 67.0%, 교육청 32.1%로 서울시 본청의 1인 견적 수의계약 비율이 매우 높았다.

특히 서울시 교육청의 경우는 2인 이상의 견적을 받아 경쟁계약을 체결해야 하지만 유찰 후 재공고시 법정 공고기간을 지키지 않은 방법으로 특정업체와 수의계약을 체결하고 협상에 의한 계약에 총 23건 중 18건이 법정공고기간을 어기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이 의원은 “공공기관이나 공기업들의 일감 몰아주기나 소위 ‘갑(甲)의 횡포’에는 수의계약 방식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면서 “이러한 수의계약은 발주기관이 판단해 업체를 선정하는 구조이다보니 담당자나 주요 간부들의 이해타산에 맞물려 자연히 부정과 비리가 끼어들게 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계약의 투명성 확보를 통해 행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계약부조리 척결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1000만원 이상 모든 계약은 전면 공개입찰로 전환하고 전자공개 수의계약을 정착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