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혁신안 통과했으나 ‘산 넘어 산’

송호창 “재신임투표 철회해야...文, 리더십 약회될 것”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5-09-17 10:55:50

최재성 “그럼 비노 의원들한테 묻고 그만둬야 되느냐”

심기남 “당내 분위기 정리...재신임 강행할 필요 있나”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안이 진통 끝에 중앙위원회를 통과했으나, 문재인 대표의 재신임투표를 둘러싼 갈등은 더욱 격화되는 양상이다.

안철수계인 송호창 의원은 17일 “재신임 투표는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송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재신임 되지 않으면 극심한 혼란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고 설사 재신임으로 표결이 된다고 하더라도 내부에 다른 의견들이 충분하게 수렴되는 과정이 아니라 표결 절차를 통해서 뜻만 보여주고 끝나는 것"이라며 이 같이 지적했다.

그는 또 "문재인 대표나 재신임 절차를 추진하고 있는 분들은 재신임을 받게 되면 당 내부의 갈등이나 분란이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재신임 절차가 통과가 되더라도 당 대표의 리더십은 강화되는 것이 아니라 훨씬 약화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에 대해 친노 최재성 총무본부장은 같은 날 C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당원들에게, 국민들에게 (재신임을)묻고 어느 한 가지라도 신임을 못 받으면 그만하겠다는, 가장 위험하고 강력한 방식으로, 또 (문재인을)반대하셨던 의원님들이 제기했던 방식으로 묻는 것인데. 그런 비노 의원들한테 묻고 그만둬야 되느냐"고 반발했다.

이런 계파갈등은 전날 열린 중앙위에서도 그대로 재연됐다.

혁신안 처리를 호소하는 문 대표의 모두발언이 끝나고, 중앙위가 비공개로 바뀌자마자 반발이 시작됐다. "토론 과정을 공개해야 한다"는 조경태 의원의 이의 제기로 장내는 어수선해졌고, 이어 "질 수 없는 선거에서 패배했다"는 조 의원의 거친 고성이 회의장 밖까지 새어 나왔다.

혁신안이 상정된 후 '민주당 집권을 위한 모임(민집모)' 등 비주류 의원들의 집단반발도 이어졌다.

이들이 혁신안에 대한 무기명 비밀투표를 거듭 요구했음에도 거수 결과, 비밀투표에 반대한다는 의견이 더 많다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비노계 의원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 문병호·최원식·김동철·노웅래·유성엽·권은희 의원 등은 항의의 의미로 표결을 거부하고 회의장을 박차고 나가버렸다.

최원식 의원은 회의장 밖에서 기자들과 만나 "혁신안에 반대하면 무조건 기득권으로 몰고 건전한 토론도 봉쇄해버렸다"며 "이것이야말로 구태정치고 계파패권주의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비노계 일부 의원들이 빠진 채 지도체제 변경을 내용으로 하는 안건은 모두 '만장일치' 박수로 의결됐다. 사실상 혁신안이 '반쪽 지지'에 그치게 된 셈이지만 문재인 대표와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통합’을 강조했다.

실제 문 대표는 "혁신은 이제 시작"이라며 "당의 단합과 당 외부를 망라하는 통합을 위해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고, 김상곤 혁신위원장도 "혁신의 기틀이 마련됐다. 또 다른 시작"이라며 "이제 당 지도부와 구성원들이 함께 통합, 단결을 향해 나아가는 작업이 이제부터 본격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노계 의원 12명이 즉각 '혁신안은 혁신의 본질과 동떨어진 것'이라며 성명을 발표하는 등 주류-비주류와의 갈등은 여전한 상태다.

주승용, 김동철, 문병호 의원 등 비주류 의원들도 성명을 통해 "중앙위에 의결된 혁신안은 절차적 하자뿐만 아니라 그 내용에 있어서도 혁신의 본질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규정한다"고 반발했다.

이들은 "최고위원회의 적법한 의결절차가 무시됐다. 지난 9일 개최된 최고위에서 공천혁신안의 당무위 상정을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대표가 일방적으로 의결했다"며 "이는 사실상 찬성을 강요한 것과 다름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친노 일각에서는 문 대표가 혁신안에서 승리를 거둔 만큼 재신임 투표를 중단하고 당내 갈등 봉합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친노 중진으로 재신임투표 관리위원장에 임명된 신기남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혁신안 통과는 혁신안에 대한 통과이지 재신임투표와는 다른 것”이라며 “사실상 1차 관문이라고 평가가 될 뿐이지 재신임투표 자체는 아니기 때문에 문재인 대표의 재신임투표를 강행하는 뜻은 변함이 없는 듯하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당의 분위기가 어느 정도 정리돼 가는 시점에 굳이 또 재신임투표를 강행할 필요가 있느냐“고 반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