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오픈프라이머리 합의 가능할까?

김무성 “반드시 관철...전략공천 절대 안 해"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5-09-24 11:52:56

홍문종 “현실적 문제 생각...제3대안 찾아야”

문재인 “인재등용 위해선 전략공천 꼭 필요”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는 관철될 수 있을까?

현재로서는 실현가능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새누리당 국민공천제도TF는 24일 오전 김무성 대표와 황진하 사무총장,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 회의를 갖고 야당이 참여하지 않더라도 여당만의 오픈프라이머리를 관철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회의 직후 기자와 만나 "오픈프라이머리를 여야가 동시에 한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는 점을 확인했다"면서 "경선을 위한 선거인명부 작성과 역선택 방지장치 등을 담기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이 필요하다. 야당과 법개정 사안에 대해 논의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김무성 대표는 회의에서 "국민공천제 취지와 원칙은 무슨 일이 있어도 살릴 것"이라며 "하다하다 안될 때 필요에 의해 디테일을 바꿔 '플랜B'로 가게 되더라도 기본적인 국민공천제 원칙은 지킨다"고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어 그는 "절대 전략공천은 안하겠다"며 "비민주적 공천을 막고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드리는 게 정치개혁"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날 회의에서는 박종희 제2사무부총장이 "현실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가 쉽지 않다"고 수차례 거론하는 등 오픈프라이머리 실시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도 잇따랐다는 전언이다.

앞서 친박 핵심 홍문종 의원은 전날 한 방송에 출연, “김 대표가 말하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는 공천’에 철저히 동의한다”면서도 “지금 야당은 내년 총선의 전략·전술을 얘기하고 있는데 우리는 아직도 오픈프라이머리 제도 얘기만 하고 있다. 제 3의 대안을 찾자"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오픈프라이머리는 여야가 동시에 수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며 “오픈프라이머리는 현역 의원 등의 기득권을 유지시켜 주고 새로운 인사들이 비집고 들어갈 틈을 주지 않는 면에서 현실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의 문제점도 생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략공천과 관련, 홍 의원은 “김 대표의 ‘공천 혁명’주장엔 100% 동의하지만 지금 전략공천이 계파 나눠 먹기 식으로 말도 안 되는 사람을 공천하는 상황은 아니다”라며 “우리 당은 충분히 국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당”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의 출마와 관련해서는 “그런 분들이 오는 것에 대해 뭐라고 얘기하면 안 된다. 대통령 주변 사람들이라고 정치 못하는 건 아니다. 나름대로 여론 수렴을 거치면 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친박계의 ‘오픈프라이머리 반대는 김 대표 흔들기’라는 의혹에 대해선 “김 대표를 흔들어 당에 도움이 되겠느냐, 대통령께 도움이 되겠느냐”며 정면 부인했다.

한편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김무성 대표가 오픈프라이머리 여야 동시 도입을 위해 문 대표를 만나겠다고 발언한 것에 대해 “저는 이미 오픈프라이머리와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일괄 타결하자고 제안한 바 있다”며 “김무성 대표가 결단을 내린다면 내일이라도 만나 담판을 지을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 대표는 "우리가 제안한 안심번호 제도가 (새정치연합 혁신위는 안심번호 도입시 총선 경선 선거인단을 100% 국민경공천단으로 구성하는 공천혁신안을 이달 초 통과시켰다) 가장 확실한 오픈프라이머리제도“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전략공천 문제에 대해선 “좋은 인재를 등용하기 위해 꼭 필요하다”며 “새누리당도 좋은 인재를 발탁하는 전략공천을 포기할 수 없을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러면서 “전략공천 시 당대표가 공천을 좌지우지 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는 혁신위의 공천혁신위의 방안으로 사라졌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