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애 강북구의원 주장 "다중이용시설 공공위생 기준 필요"
고수현
smkh86@siminilbo.co.kr | 2015-10-14 23:58:49
"공중보건 측면서 유기동물 전염병 위험요소 있어"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유인애 서울 강북구의원이 유기동물에 대한 집중관리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또한 반려동물 유기시에 물리는 벌금을 강화할 것도 주장했다.
유 의원은 최근 열린 구의회 제193회 임시회에서 5분발언을 통해 "지난 8월 말 현재 지역내 유기동물 처리내역을 보면 개·고양이 등 총 285마리가 유기됐지만 주인에게 반환된 것은 67마리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안락사나 자연사, 입양 등으로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려동물 등록에 대한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유기동물 증가는) 동물등록이 돼 있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반려동물의 정확한 관리를 위해서 가정에서 기르는 반려동물은 반드시 신고나 등록을 하도록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반려동물 유기시에는 벌금강화 등 소유자의 책임의식을 제고하고 온·오프라인 등 각종 매체를 통해 동물보호센터·동물병원·동물미용업소의 위치 및 연락처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유기동물에 대한 집중관리 필요성을 피력했다.
유 의원은 "주민들의 공중보건적인 측면에서 유기동물은 전염병 및 환경오염의 위험요소가 있는 만큼 다중이용시설 이용에 대한 공공위생 및 안전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면서 "반려동물의 야외활동이 가능한 반려동물 테마파크, 애견카페 등의 공간을 마련해 유기동물을 집중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유 의원은 유기동물 및 반려동물 등 사체 처리문제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유 의원에 따르면 현행 동물의 사체 처리절차는 민원인 신고를 통해 환경미화원 현장 방문 수거 후 적환장내 냉동 보관하고 있다가 의료폐기물 수집운반 처리업체가 소각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유 의원은 "반려동물의 사체를 동물병원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련규정을 개정하는 것을 적극 검토를 요청하며, 지자체 단위의 반려동물 보호 및 관리를 위한 관리체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시민일보=고수현 기자]유인애 서울 강북구의원이 유기동물에 대한 집중관리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또한 반려동물 유기시에 물리는 벌금을 강화할 것도 주장했다.
유 의원은 최근 열린 구의회 제193회 임시회에서 5분발언을 통해 "지난 8월 말 현재 지역내 유기동물 처리내역을 보면 개·고양이 등 총 285마리가 유기됐지만 주인에게 반환된 것은 67마리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안락사나 자연사, 입양 등으로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려동물 등록에 대한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유기동물 증가는) 동물등록이 돼 있지 않았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반려동물의 정확한 관리를 위해서 가정에서 기르는 반려동물은 반드시 신고나 등록을 하도록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아울러 "반려동물 유기시에는 벌금강화 등 소유자의 책임의식을 제고하고 온·오프라인 등 각종 매체를 통해 동물보호센터·동물병원·동물미용업소의 위치 및 연락처 등 다양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은 "주민들의 공중보건적인 측면에서 유기동물은 전염병 및 환경오염의 위험요소가 있는 만큼 다중이용시설 이용에 대한 공공위생 및 안전관리 기준이 필요하다" 면서 "반려동물의 야외활동이 가능한 반려동물 테마파크, 애견카페 등의 공간을 마련해 유기동물을 집중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유 의원은 유기동물 및 반려동물 등 사체 처리문제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유 의원에 따르면 현행 동물의 사체 처리절차는 민원인 신고를 통해 환경미화원 현장 방문 수거 후 적환장내 냉동 보관하고 있다가 의료폐기물 수집운반 처리업체가 소각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다.
유 의원은 "반려동물의 사체를 동물병원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관련규정을 개정하는 것을 적극 검토를 요청하며, 지자체 단위의 반려동물 보호 및 관리를 위한 관리체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