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 연일 계속 이어져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5-10-17 09:58:33
권희영 교수, “좌편향 교과서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좋아”
한상권 교수, “과거를 비틀어 현재를 합리화시키기 위해 국정화”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연일 끊이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교과서를 만들겠다고 밝혔지만 진정성 여부를 두고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권희영 한국학 중앙연구원 교수는 15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좋은 국정교과서 하나가 나오면 일곱 개의 나쁜 교과서, 즉 좌편향 교과서가 있는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좋다”며 국정화에 대해 찬성 입장을 밝혔다.
그는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처사’라는 비난에 대해서는 “오히려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것”이라며 “7종의 좌편향 교과서들이 자유민주주의체제에 대해 부정적 생각을 가지도록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국정교과서를 통해 자유민주주의체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역사관이 형성된다고 한다면 그건 오히려 자유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현재 좌편향 교과서들이 가지고 있는 성향에서 무엇보다도 두드러지는 것이 공산주의를 자유민주주의보다 좋은 체제로 보는 것이고, 공산주의의 편을 드는 서술들이 너무 많다”며 “1939년 나치독일과 소련이 비밀조약을 맺어 폴란드를 분할 점령하는 제국주의적 정책을 썼는데 그런 역사를 독일은 침공했는데 소련이 폴란드 침공한 것은 싹 빼버린다고 한다면 의도적인 것 아니겠는가”라고 설명했다.
그는 ‘친일ㆍ독재 미화’ 등 우편향 된 사례도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친일이나 독재 미화를 하는 교과서들은 오히려 좌편향 교과서들”이라며 “이 좌편향 교과서들이 김일성이 친일파를 가지고선 정권을 조직한 걸 가지고 완전 누락하고 있다. 그리고 김일성 독재를 그냥 이해해주려고 비판을 별로 안 하는데, 오히려 친일ㆍ독재 미화라고 하는 것은 좌편향 교과서 7종이 갖고 있는 특징”이라고 말했다.
최근 각 대학에서 국정교과서 집필요구를 거부하는 선언이 잇따르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만약 그 사람들이 민중사관적인 입장을 가지고 좌편향 돼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런 식의 성명을 발표했다고 한다면 그건 성명을 발표한 게 맞다. 그 사람들은 참여하면 안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균형 잡힌 교과서라고 하는 것은 좌익과 우익의 중간쯤으로 해서 교과서를 만들라는 게 아니라 자유민주주의적 헌법가치에 충실한 사람들로 구성이 돼야 균형 잡힌 교과서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저지네트워크 상임대표인 한상권 덕성여대 교수는 “과거를 비틀어 현재를 합리화시키기 위해 국정화를 하고 있다는 게 본질”이라고 비판했다.
한 교수는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국정화 방침을 밝힌 게 2014년 1월13일이 처음인데, 이때 뉴욕타임즈에서 ‘정치인과 교과서’라는 사설을 썼다. 여기에는 일본의 역사왜곡과 한국정부의 교과서 정책이 하나의 세트로 가고 있다고 얘기를 하는데, 교과서를 통해 과거역사를 미화하기 위해 교과서 파동을 일으켰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박근혜정부에서 우리가 교과서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게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교과서인데 그게 국정으로 돼서 한 번 나왔다. 작년에 나와서 비판을 받은 바 있는데 지금 이 내용이 똑같이 그대로 반복됐고 많이 비판을 받았다”며 “그렇다면 그것은 이 정권의 기본적인 역사인식을 반영하는 교과서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정화라는 건 국가가 모든 교과서를 쓰는 것인데, 물론 학자를 고용하지만 그 발행 저작권은 국가가 갖고 있는 것이다. 무슨 얘기를 여기에 써놔도 그걸 국가가 바꿀 수 있는 것”이라며 “즉 필진의 이의제기가 수용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국정화는 곧 국가의 역사교과서”라고 설명했다.
그는 집필 거부 문제에 대해서는 “국정화를 반대하는 우리 대학교 40여분의 의사를 모았는데 국정화를 반대한 사람이 집필에 참여하는 건 애초에 논리적 모순”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정화를 해서 자기가 설사 썼다고 할지라도 이것은 저자가 자기가 아니고 그냥 원고만 넘겨주는 것이기 때문에 저쪽(국가)에서 어떻게 바꿔도 항의할 명분과 절차가 없다. 그러면 그쪽에 명분만 세워준 것”이라고 말했다.
한상권 교수, “과거를 비틀어 현재를 합리화시키기 위해 국정화”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역사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연일 끊이지 않고 계속되고 있다.
정부는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은 교과서를 만들겠다고 밝혔지만 진정성 여부를 두고 공방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권희영 한국학 중앙연구원 교수는 15일 오전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좋은 국정교과서 하나가 나오면 일곱 개의 나쁜 교과서, 즉 좌편향 교과서가 있는 것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좋다”며 국정화에 대해 찬성 입장을 밝혔다.
그는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처사’라는 비난에 대해서는 “오히려 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것”이라며 “7종의 좌편향 교과서들이 자유민주주의체제에 대해 부정적 생각을 가지도록 가르치고 있기 때문에 국정교과서를 통해 자유민주주의체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역사관이 형성된다고 한다면 그건 오히려 자유민주주의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 현재 좌편향 교과서들이 가지고 있는 성향에서 무엇보다도 두드러지는 것이 공산주의를 자유민주주의보다 좋은 체제로 보는 것이고, 공산주의의 편을 드는 서술들이 너무 많다”며 “1939년 나치독일과 소련이 비밀조약을 맺어 폴란드를 분할 점령하는 제국주의적 정책을 썼는데 그런 역사를 독일은 침공했는데 소련이 폴란드 침공한 것은 싹 빼버린다고 한다면 의도적인 것 아니겠는가”라고 설명했다.
그는 ‘친일ㆍ독재 미화’ 등 우편향 된 사례도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친일이나 독재 미화를 하는 교과서들은 오히려 좌편향 교과서들”이라며 “이 좌편향 교과서들이 김일성이 친일파를 가지고선 정권을 조직한 걸 가지고 완전 누락하고 있다. 그리고 김일성 독재를 그냥 이해해주려고 비판을 별로 안 하는데, 오히려 친일ㆍ독재 미화라고 하는 것은 좌편향 교과서 7종이 갖고 있는 특징”이라고 말했다.
최근 각 대학에서 국정교과서 집필요구를 거부하는 선언이 잇따르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만약 그 사람들이 민중사관적인 입장을 가지고 좌편향 돼 있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런 식의 성명을 발표했다고 한다면 그건 성명을 발표한 게 맞다. 그 사람들은 참여하면 안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균형 잡힌 교과서라고 하는 것은 좌익과 우익의 중간쯤으로 해서 교과서를 만들라는 게 아니라 자유민주주의적 헌법가치에 충실한 사람들로 구성이 돼야 균형 잡힌 교과서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국사교과서 국정화저지네트워크 상임대표인 한상권 덕성여대 교수는 “과거를 비틀어 현재를 합리화시키기 위해 국정화를 하고 있다는 게 본질”이라고 비판했다.
한 교수는 이날 같은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정부가 국정화 방침을 밝힌 게 2014년 1월13일이 처음인데, 이때 뉴욕타임즈에서 ‘정치인과 교과서’라는 사설을 썼다. 여기에는 일본의 역사왜곡과 한국정부의 교과서 정책이 하나의 세트로 가고 있다고 얘기를 하는데, 교과서를 통해 과거역사를 미화하기 위해 교과서 파동을 일으켰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박근혜정부에서 우리가 교과서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게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교과서인데 그게 국정으로 돼서 한 번 나왔다. 작년에 나와서 비판을 받은 바 있는데 지금 이 내용이 똑같이 그대로 반복됐고 많이 비판을 받았다”며 “그렇다면 그것은 이 정권의 기본적인 역사인식을 반영하는 교과서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정화라는 건 국가가 모든 교과서를 쓰는 것인데, 물론 학자를 고용하지만 그 발행 저작권은 국가가 갖고 있는 것이다. 무슨 얘기를 여기에 써놔도 그걸 국가가 바꿀 수 있는 것”이라며 “즉 필진의 이의제기가 수용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국정화는 곧 국가의 역사교과서”라고 설명했다.
그는 집필 거부 문제에 대해서는 “국정화를 반대하는 우리 대학교 40여분의 의사를 모았는데 국정화를 반대한 사람이 집필에 참여하는 건 애초에 논리적 모순”이라고 밝혔다.
이어 “국정화를 해서 자기가 설사 썼다고 할지라도 이것은 저자가 자기가 아니고 그냥 원고만 넘겨주는 것이기 때문에 저쪽(국가)에서 어떻게 바꿔도 항의할 명분과 절차가 없다. 그러면 그쪽에 명분만 세워준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