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오픈프라이머리당내 갈등 해법 찾나
새누리, 백지화하고 특별기구 구성...공천룰 마련키로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5-10-19 14:40:42
새정치, 79명 의총소집요구에 혁신위 反혁신반발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백지화시키기로 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키로 한 데 반해 새정치민주연합은 여전히 이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19일 당은 지난 달 30일 의총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백지화 하는 대신 공천 특별기구를 구성해 새로운 공천 룰을 마련키로 확정했다며 이제 우리 당에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문제로 갈등을 겪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야당의 논의 추이를 살핀 뒤 대응책을 논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김무성 대표의 한 측근 의원은 만약 야당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전격 결정하게 되면 새누리당도 당연히 당론으로 채택한 바 있는 오픈프라이머리로 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 대표 역시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새정치연합 비노계의 요구로 오픈프라이머리 의총을 소집한 데 대해 "결과를 보고 말하겠다"고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관계자는 오픈프라이머리 무산 이후 의총에서 특별기구를 출범시켜 총선 룰을 논의하기로 한 만큼 야당 상황이 변한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입장을 다시 바꾸기는 어렵다.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시 의총을 거쳐야 한다며 이미 오픈프라이머리는 물 건너갔다고 가능성을 일축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이 문제를 놓고 친노계와 비노계가 심각한 갈등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규성 의원 등 79명이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 요구에 서명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요구했다.
이들이 요구하는 오픈프라이머리가 시행되면 살인·강간·강도·절도·폭력 5대 범죄 전과자를 제외하고 누구나 자유롭게 경선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종걸 원내대표가 지난 17일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정책의총을 소집키로 했다.
문재인 대표가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장 인선을 마무리한 만큼 오픈프라이머리가 당론 채택될 경우 내부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이날 해산하는 혁신위원회가 반발하고 나섰다.
혁신위는 이날 국회 당 대표실에서 활동 마무리 기자회견을 갖고 "최 의원 등의 요구는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평가를 통한 하위 20% 공천배제, 예비후보자 검증을 통한 도덕성 강화 등 당헌·당규로 채택된 혁신위원회의 시스템 공천안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시도라며 "기득권 사수를 위한 반혁신"이라고 반발했다.
혁신위는 또 "국민과 당원이 원하는 것은 인적쇄신을 통한 민생해결, 민생해결을 위한 인적쇄신"이라며 "기득권을 퇴출시킨 그 자리를 민생복지정당을 실천할 인재로 채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력, 정체성, 도덕성을 갖춘 인재가 경제민주화와 복지국가를 책임지는 민생복지정당을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혁신위는 "지금은 계파나 개인의 기득권을 따질 때가 아니다"라며 "당헌 당규의 요구사항을 거부하거나 외면하는 움직임은 국민과 당원과의 약속을 어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다시 한 번 조속히 선출직공직자평가 시행세칙의 의결을 요구한다"며 "평가위원회 위원장이 임명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시행세칙이 의결되지 않았다. 시행세칙은 실력, 정체성, 도덕성이 있는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역설했다.
김상곤 위원장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찬성한 의원들을 '반혁신'으로 규정한 것에 대해 "오픈프라이머리를 지금 이 시점에서 주장하는 것은 혹시 혁신을 피해가기 위한 발상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또 우원식 의원은 "최규성 의원이 내신 것은 5대 범죄에 속한 것만 제외하고 나머지에게는 다 경선 참여 권한을 준다는 것이다. 최 의원 안은 국회의원이라면 생각할 수 없는 범죄만 열거돼 있다"며 "국회의원 중에 그런 범죄 저지른 사람은 없다. 자격심사로 배제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그런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국 위원도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은 입법 문제다. 의원들이 당론으로 채택해서 법안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강간에 대한 1심 유죄판결자와 뇌물에 대한 대법원 확정판결자가 오픈프라이머리에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이 맞느냐의 문제가 있다"고 가세했다.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새누리당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백지화시키기로 하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키로 한 데 반해 새정치민주연합은 여전히 이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19일 당은 지난 달 30일 의총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백지화 하는 대신 공천 특별기구를 구성해 새로운 공천 룰을 마련키로 확정했다며 이제 우리 당에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문제로 갈등을 겪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당내 일각에서는 야당의 논의 추이를 살핀 뒤 대응책을 논의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김무성 대표의 한 측근 의원은 만약 야당이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전격 결정하게 되면 새누리당도 당연히 당론으로 채택한 바 있는 오픈프라이머리로 갈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 대표 역시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새정치연합 비노계의 요구로 오픈프라이머리 의총을 소집한 데 대해 "결과를 보고 말하겠다"고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관계자는 오픈프라이머리 무산 이후 의총에서 특별기구를 출범시켜 총선 룰을 논의하기로 한 만큼 야당 상황이 변한다고 하더라도 우리의 입장을 다시 바꾸기는 어렵다. 오픈프라이머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다시 의총을 거쳐야 한다며 이미 오픈프라이머리는 물 건너갔다고 가능성을 일축했다.
반면 새정치연합은 이 문제를 놓고 친노계와 비노계가 심각한 갈등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규성 의원 등 79명이 '오픈프라이머리 법제화' 요구에 서명하면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논의를 위한 의원총회를 요구했다.
이들이 요구하는 오픈프라이머리가 시행되면 살인·강간·강도·절도·폭력 5대 범죄 전과자를 제외하고 누구나 자유롭게 경선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이종걸 원내대표가 지난 17일 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정책의총을 소집키로 했다.
문재인 대표가 선출직공직자 평가위원장 인선을 마무리한 만큼 오픈프라이머리가 당론 채택될 경우 내부 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장 이날 해산하는 혁신위원회가 반발하고 나섰다.
혁신위는 이날 국회 당 대표실에서 활동 마무리 기자회견을 갖고 "최 의원 등의 요구는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평가를 통한 하위 20% 공천배제, 예비후보자 검증을 통한 도덕성 강화 등 당헌·당규로 채택된 혁신위원회의 시스템 공천안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시도라며 "기득권 사수를 위한 반혁신"이라고 반발했다.
혁신위는 또 "국민과 당원이 원하는 것은 인적쇄신을 통한 민생해결, 민생해결을 위한 인적쇄신"이라며 "기득권을 퇴출시킨 그 자리를 민생복지정당을 실천할 인재로 채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력, 정체성, 도덕성을 갖춘 인재가 경제민주화와 복지국가를 책임지는 민생복지정당을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혁신위는 "지금은 계파나 개인의 기득권을 따질 때가 아니다"라며 "당헌 당규의 요구사항을 거부하거나 외면하는 움직임은 국민과 당원과의 약속을 어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다시 한 번 조속히 선출직공직자평가 시행세칙의 의결을 요구한다"며 "평가위원회 위원장이 임명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시행세칙이 의결되지 않았다. 시행세칙은 실력, 정체성, 도덕성이 있는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첫걸음"이라고 역설했다.
김상곤 위원장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찬성한 의원들을 '반혁신'으로 규정한 것에 대해 "오픈프라이머리를 지금 이 시점에서 주장하는 것은 혹시 혁신을 피해가기 위한 발상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설명했다.
또 우원식 의원은 "최규성 의원이 내신 것은 5대 범죄에 속한 것만 제외하고 나머지에게는 다 경선 참여 권한을 준다는 것이다. 최 의원 안은 국회의원이라면 생각할 수 없는 범죄만 열거돼 있다"며 "국회의원 중에 그런 범죄 저지른 사람은 없다. 자격심사로 배제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 그런 점에서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국 위원도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은 입법 문제다. 의원들이 당론으로 채택해서 법안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강간에 대한 1심 유죄판결자와 뇌물에 대한 대법원 확정판결자가 오픈프라이머리에 들어올 수 있다는 것이 맞느냐의 문제가 있다"고 가세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