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리더십 적신호

호남서 박원순에 밀리고 재보선 책임론도 불거져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5-11-01 16:18:16

문 대표 “국정화 반대 운동 계속”...책임론 일축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갈길 먼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의 리더십에 빨간불이 켜졌다.

호남에선 지지율이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밀리고, 당내에선 10.28 재보궐선거 참패에 따른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는 탓이다.

새정치연합 관계자는 1일 "10.28재보선 때 전남 신안 나선거구 기초의원 선거에서는 우리 당 후보가 무소속 2명에 밀려 3위를 기록하는가 하면, 최근 들어 호남향우회가 우리당에 등을 돌렸다는 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라며 “문 대표의 리더십과 정권교체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실제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얼미터의 여론조사 추이에 따르면 문 대표는 2.8전당대회 직전인 2월6일 호남에서 26.2%의 지지율을 얻어 올들어 처음으로 박원순 서울시장(24.0%)을 오차범위에서 제쳤으나, 10월 들어 첫주 20.7%, 둘째주 13.9%, 셋째주 15.2%, 넷째주 18.2% 등 10%대 지지율로 밀려 박 시장(첫주 22.2%, 둘째주 28.0%, 셋째주 22.4%, 넷째주 20.9%)에 못 미치고 있다.

문 대표가 호남에서 환영받지 못하는 것은 노무현정부 시절 대북송금 특검, 열린우리당 창당 등으로 촉발된 호남의 뿌리깊은 반노(반노무현) 정서가 반영됐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당내에서는 문 대표가 취임 이래 반노 정서 진화에 적극적이지 못했다는 비판까지 나온다.

무소속 천정배 박주선 의원 등 호남지역에서 신당 창당 작업이 진행되는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특히 10.28 재보선 참패에 따른 대표 책임론으로 문 대표의 리더십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조경태 의원은 문재인 대표에게 재보선 결과에 책임지고,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조 의원은 지난 30일 기자회견을 열어 “문재인 대표는 지난 4.29 재보궐 선거에 이어 10.28 재보궐 선거에서도 낙제점을 받았으면 국민들의 준엄한 심판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포문을 열었다.


조 의원은 ‘죽어봐야 저승 맛을 알겠냐’는 원색적인 표현을 써가면서 “문 대표는 이번 선거 참패를 어물쩍 넘어가려 하지 말고 당원과 국민에게 사과하고 당 대표직에서 즉각 물러나길 바란다”고 압박했다.

조 의원은 “총선이 6개월도 남지 않은 상황에서 치러진 이번 재보궐 선거 결과는 그 어떤 선거 결과보다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며 “문 대표는 패권적 계파 정치를 즉각 중단하고, 선거의 참패에 대해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라”고 촉구했다.

이어 “지금의 야당은 누가 보더라도 지지 기반이 완전히 무너진 상태라며, 당의 텃밭인 호남에서조차도 여당 대표보다 지지율이 낮은 야당 대표가 어떻게 내년 총선을 승리로 이끌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박지원 의원도 자신의 SNS를 통해 “아무리 지방선거라도 중앙당에서 체계적 지원해야 한다. 작은 선거라고 변명하지 말고, 큰 책임을 져야 한다”고 문 대표의 결단을 촉구했다.

이어 그는 “이대로 적당하게 넘어가면 내년 총선도 적당하게 될 것”이라면서 “정권교체도 안 된다”고 강조했다.

김한길 전 공동대표는 재보선 결과를 두고 “우리 당 현주소를 보여주는 결과”라면서 “앞으로 걱정이 더 깊다”고 우려했다. 안철수 전 대표도 "이 상태로 총선 공천 작업만 한다면 (재보선과) 같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문 대표는 29일 국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박근혜 대통령에게 역사교과서 논란을 논의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을 제안하면서, 자신의 제안이 받아지지 않을 경우 강도 높은 국정화 반대운동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대여투쟁 강도를 높이겠다는 뜻을 밝히는 것으로 당내에서 제기되고 있는 책임론을 일축한 셈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