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언론 '소녀상 이전 검토' 추측 보도 논란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15-12-29 07:58:02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 "소녀상, 순수민간차원서 세워져 정부가 어떻게 할 수 없어"
윤미향 정신대문제대책協 상임대표 "철거 조건 내거는 것 자체가 문제해결 의지 없다는 것이다"
김경주 日 도카이大 교수 "일종의 언론 플레이… 정부가 어느 선서 타협할 지가 관건"


[시민일보=전용혁 기자]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일외교장관회담과 관련, 일본 언론들의 ‘소녀상 이전 문제’와 관련한 추측성 보도가 거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주한 일본 대사관의 위안부 소녀상 이전 문제와 관련한 일본 언론의 보도가 나오자 우리측 피해 당사자측에서 반발의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는 것이다.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28일 오전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소녀상은 정부가 아닌 순수 민간 차원에서 모금 후 행정 절차를 거쳐 합법적으로 세워진 것으로 한국 정부가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소녀상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잊지 않기 위한 기림비이자 1992년 2월1일부터 수요 집회에 참석하시는 평화시위를 하시는 할머니들을 상징하는 평화비”라며 “일본이 한국 정부가 할 수 없는 제안을 하는 것은 이번 장관회담에 정말 해결 의지가 있는지”라면서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할머님들 말씀은 소녀상은 협상대상이 아니고, 이 문제가 해결돼도 상징적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래서 철거나 이전을 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것은 인권의 문제이기 때문에 가해국의 공식사죄와 법적배상을 당연히 해야 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 법적인 문제는 끝났다고 얘기하고 있고 인도적인 차원에서 얘기하는데 국제사회, 특히 미국에서 2007년도 일본의 사죄를 촉구하는 결의안이나 2011년부터 미국에 세워진 기림비, 소녀상을 보면 끈끈한 미일동맹보다는 인권의 소중함을 얘기하는 것이다. 이건 전 세계인이 이해하는 안을 일본이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상임대표는 소녀상 이전 검토 문제와 관련, “참 기가 막힌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윤 대표는 이날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소녀상을 철거하라는 조건을 내거는 것 자체는 위안부 문제 해결에 의지가 없는 것으로 퍼포먼스, 쇼가 아닌가라는 생각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말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연내 타결 할 목적에 긴급함, 시급함, 중대함이 있었다면 이렇게 전제조건을 내는 것은 어떤 타결을 바라는 의지가, 진정성이 없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비난했다.

그는 “왜냐하면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이런 조건을 내걸면 안 된다. 가해자는 가해자가 무엇을 해야 할지, 책임을 다하는 것으로써 보여줘야 하는 것인데 오히려 자기들이 권한을 쥐고 있는 것 마냥 ‘소녀상 철거한다는 약속을 안 해 주면 우리는 이야기를 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사후에 이 문제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 그 책임을 또다시 피해국과 피해자들, 피해국 사이에 있는 NGO들, 책임을 그렇게 몰고 가려는 술수로까지 읽혀지는 것으로 굉장히 폭력적인 제안”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편 이같은 일본 언론들의 움직임에 대해 김경주 일본 도카이대 교수는 “일종의 언론 플레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날 오전 SBS <한주신의 SBS전망대>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이건 바꿔 말하면 그만큼 지금 협상이 상당히 치열하다. 서로 간에 신경전 속에서 막바지 조율을 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해하는 게 더 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일본측의 보도 내용에 일희일비하기 보다는 과연 한국 정부가 어느 선에서 타협을 할 것인가가 관건”이라며 “가장 큰 것은 일본의 국가적인 법적 책임을 인정하라는 게 모든 것의 출발점인데, 지금 사태가 여기까지 온 이상 모종의 합의는 이끌어내지 않겠는가 하는 것”이라고 추측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