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역 277곳 중 20% 위법운영… 여성용 변기 부족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6-01-11 17:16:03

최판술 시의원 "이용객 데이터 활용 우선 공사 역 선정을"

[시민일보=이영란 기자]서울시가 관리하는 지하철역 277곳 중 20% 이상이 법령을 위반한 형태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화장실에 있었다.

11일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소속 최판술(더불어민주당·중구1) 의원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62개 역사(전체의 22.4%)는 남녀가 구분된 장애인화장실이 없거나 남녀 화장실의 변기 비율이 1대 1에 미치지 못했다.

호선별로는 6호선과 3호선의 상황이 제일 열악하다.

서울도시철도공사가 관리하는 6호선 38개역 중 17곳(45%)은 여성 변기수가 5개 이하로 파악됐다. 해당 역은 삼각지역·약수역·신당역 등이다.

서울메트로가 관리하는 3호선 34개역 중 15곳(44%)은 장애인화장실이 남녀 구분없이 설치된 데다 여성 변기수도 5개 이하로 두 가지 법률을 모두 준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복궁역·양재역·도곡역 등이 해당된다.

1호선 서울역·동대문역·청량리역, 2호선 교대역·충정로역, 4호선 명동역·동대문역, 5호선 신길역, 7호선 장암역, 8호선 복정역 등도 기준 미달이다.

최 의원은 “공중화장실법의 화장실 설치기준을 위반하면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일일이 지적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양 공사도 2011년부터 매년 약 30억원씩 들여 화장실 개선사업을 벌이고 있으나 1개 역사의 화장실을 개선할 때마다 2억7000만원이 드는 데다 일찍 건설된 1~4호선은 변기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도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하루 이용객 등 객관적인 데이터를 토대로 우선 공사할 역을 정하고 시급히 역사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