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한반도 배치 검토… 中 심기 불편
고수현
smkh86@siminilbo.co.kr | 2016-01-29 23:58:04
국방부 "美 요청 없다… 배치땐 안보·국방에 도움"
[시민일보=고수현 기자]국내에서 고도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가 지속적으로 거론되면서 중국이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고 있다.
국방부가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한 미국의 요청이 없다는 점을 피력하면서도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효과에 긍정적 전망을 내놓는 등 공론화 되는 모양새를 보이면서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29일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와 관련해 "미국 정부로부터 협의 요청을 받은 바 없다"면서도 "주한미군이 사드를 배치하면 안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김 대변인은 "미국 정부 내에서 주한미군의 한반도 사드 배치에 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주한미군의 사드의 한반도 배치 검토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이 증가돼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한반도의 안전을 담보하겠다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반면 중국은 한반도 사드 배치에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고 있으며 러시아 역시 사드의 한반도 배치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의 경우 사드 레이더의 탐지거리가 중국의 일부 북한 접경지역까지 도달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사드 배치 가능성에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던 정부는 지난 13일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문제는 안보와 국익에 따라 검토해 나갈 것"이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언급 이후 공론화 입장을 보이면서 이를 바라보는 중국의 시선이 곱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태다.
중국은 박 대통령의 '사드' 발언 다음날 열린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에서 "세찬 바람이 불어야 억센 풀을 알 수 있다"라는 중의적 발언을 통해 사드를 공론화한 한국 정부에 대한 불편한 심기도 드러냈다.
나아가 미국의 존 케리 국무장관이 방중한 날 관영매체를 통해 "사드가 한국에 배치된다면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가를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직접적으로 경고했다.
그러면서"사드가 배치될 경우 중국과 한국 양국 간 신뢰가 손상을 입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민일보=고수현 기자]국내에서 고도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가 지속적으로 거론되면서 중국이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고 있다.
국방부가 사드의 한반도 배치에 대한 미국의 요청이 없다는 점을 피력하면서도 사드의 주한미군 배치 효과에 긍정적 전망을 내놓는 등 공론화 되는 모양새를 보이면서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29일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와 관련해 "미국 정부로부터 협의 요청을 받은 바 없다"면서도 "주한미군이 사드를 배치하면 안보와 국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김 대변인은 "미국 정부 내에서 주한미군의 한반도 사드 배치에 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선을 그었다.
주한미군의 사드의 한반도 배치 검토는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이 증가돼 북한의 위협으로부터 한반도의 안전을 담보하겠다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반면 중국은 한반도 사드 배치에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고 있으며 러시아 역시 사드의 한반도 배치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의 경우 사드 레이더의 탐지거리가 중국의 일부 북한 접경지역까지 도달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한반도 사드 배치 가능성에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던 정부는 지난 13일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문제는 안보와 국익에 따라 검토해 나갈 것"이라는 박근혜 대통령의 언급 이후 공론화 입장을 보이면서 이를 바라보는 중국의 시선이 곱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태다.
중국은 박 대통령의 '사드' 발언 다음날 열린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에서 "세찬 바람이 불어야 억센 풀을 알 수 있다"라는 중의적 발언을 통해 사드를 공론화한 한국 정부에 대한 불편한 심기도 드러냈다.
나아가 미국의 존 케리 국무장관이 방중한 날 관영매체를 통해 "사드가 한국에 배치된다면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가를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직접적으로 경고했다.
그러면서"사드가 배치될 경우 중국과 한국 양국 간 신뢰가 손상을 입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