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지지율, 46%로 견고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6-02-15 10:27:38

사드배치, “찬성”67.1% > “반대”26.2%
개성공단 전면중단, “잘한 일”54.4% > “가동해야”41.2
차기대선주자, 반기문 28.3% > 문재인 17.9% > 박원순 10.5%>김문서 8.6%
국회선진화법, “개정해야” 56.1%> “유지해야”28%


[시민일보=이영란 기자] 핵실험, 미사일 발사 등 북한의 도발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는 40% 중반에서 탄탄한 흐름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 국민들의 절반 이상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개성공단 전면 중단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와 KBS가 14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한의 4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에 이은 우리 정부의 개성공단 전면 운영 중단 조치 등 남북 간 ‘강 대 강’대치 국면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도는 46.0%로 40%대 중반의 견고한 지지율을 보였다. 이는 지난해 12월 말 44.1%에 비해 1.9%P 상승한 수치다.

반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48.7%로 지난해 말 49.1%와 비교해 0.4%P 내려갔다.

연령대별로는 큰 변화가 없었던 30대와는 달리 20대에서 25.5% 지지율로 7.8%P 크게 올라 주목된다.

지역별로는 인천, 경기, 부산, 경남 지역 등에서 4~6%P 상승한 반면 광주.전라 지역에서는 7.4%P 하락했다.

서울과 대전·충청권, 대구 경북 지역에서의 지지율은 오차범위 내 변동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촉발된 대북 긴장 관계와 관련해서는 ‘경제 재재 강화’가 30.9%, ‘핵시설 제거를 위한 군사적 수단 검토’가 18%로 강경 대응이 48.9%였다.

반면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은 40.1%였고, 7.7%는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북한의 핵 위협에 대한 대처 방안과 관련해서는 ‘한반도 비핵화를 유지해야 한다’가 41.1%로 가장 높았지만, 핵무기 독자개발 29.3% 미군 전술핵 재배치 23.2%로 북한 핵에 대응해 우리도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50%를 넘었다.

특히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배치는 찬성 의견이 2배 넘게 많았다.

전체 응답자의 67.1%는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사드를 배치해야 한다”고 답했다.

사드 배치 찬성 여론은 연령대별·권역별 지역 조사에서도 모두 50% 이상을 기록했다. 반면 “중국 등의 강경입장을 고려해 배치하지 말아야 한다”는 답변은 26.2%에 그쳤다.

아울러 핵무기 독자 개발 또는 미군 전술핵의 남한 재배치에 대한 지지 여론은 52.5%로 한반도 비핵화 선언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41.1%)보다 10% 포인트 이상 높았다.

개성공단 폐쇄조치에 대해서는 “잘한 일”이라는 응답이 54.4%로, “현재처럼 가동해야 한다”는 답변(41.2%) 보다 13.2%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 이하와 30대가 “잘한 일”라는 응답이 각각 51.9%, 52.3%를 기록해 40대(40.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차기 대통령 후보 선호도 조사에선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이 28.3%로 1위를 달렸다.

2위를 차지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의 선호도 17.9%와 비교해 10.4%P 차이로 앞섰다.

그 다음으로 박원순 서울시장(10.5%),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8.6%), 오세훈 전 서울시장(7.9%),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7.8%),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3.5%) 순이었다.

특히 반기문 총장은 새누리당 지지층에서 가장 큰 지지를 받는 동시에 야권 지지층에서도 상당한 선호도를 얻어 응답자의 지지 정당에 비교적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 반 총장은 고향인 충청권과 여권의 텃밭인 대구 경북지역에서 각각 34.9%의 높은 지지를 받았고, 강원·제주 33.3%, 인천·경기 30.2%, 부산·울산·경남 27.7%, 서울 22.8%, 광주·전라 19.6%의 지지를 받았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36.9%)에서, 직종별로는 농림축산업(44.9%)과 자영업(35.0%)에서, 지지 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41.1%)에서 특히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반 총장은 차기 대통령 당선 가능성을 예상하는 질문에서도 31.5%로 압도적인 선두를 달렸다.

이어 문재인 전 대표가 17.2%, 김무성 대표가 16.8%로 2위 그룹을 형성했다. 박원순 시장(6.7%)과 안철수 공동대표(4.6%), 오세훈 전 서울시장(3.2%)은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또 총선에서 새누리당 후보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40.9%였고, 더불어민주당 후보 23.1%, 국민의당 후보 10.6%였다.

비례대표를 뽑는 정당명부 투표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지지를 보였다.

총선 전 야권 재편 가능성에 대해서는 제각각 선거를 치를 것이라는 예상이 50.9%로 선거연대(25)나 야권통합(12.8)을 할 것이라는 의견보다 많았다.

이번 총선의 최대 쟁점으로는 경제활성화를 꼽는 사람이 41%로 가장 많았고, 일자리 창출이 18.6% 안보와 대북 이슈가 13.5%였다.

후보자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사항으로는 도덕성(32.2), 공약과 정책(28.8) 경력과 능력(20.6) 정당(11.4) 순이었다.

정당의 공천 방식에 대해서는 상향식 공천을 해야한다는 의견이 59.9%로 인재영입공천을 해야한다(26.9%)는 의견 보다 30% 포인트 이상 높았다.

노동 관련 4법과 테러방지법 등 쟁점 법안 처리에 대해서는 처리에 공감한다는 의견이 56.1%로 공감하지 않는다(35.4%) 보다 20% P 이상 많았다.

국회 선진화법은 개정 의견이 56.1%로 유지하자는 (28%) 의견을 큰 차이로 앞섰다. 특히 20대 이하에서는 57.1%가 개정해야한다고 답해, 30~40대보다 상대적으로 선진화법 개정에 높은 찬성 비율을 보였다.

이번 여론조사는 KBS와 연합뉴스가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19세 이상 성인 1013명을 대상으로 지난 11일과 12일 이틀간 유무선 전화로 실시했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p다. 여론조사 방식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www.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