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산은 대대적 압수수색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16-06-17 23:58:03
경영부실 은폐 의혹… 檢 "분식회계·경영진 비리등 수사단서 다수 발견"
[시민일보=이대우 기자]경영부실 은폐 의혹 등이 제기된 대우조선해양 본사와 경남 거제시 옥포조선소 등 대우조선 업체 및 산업은행 등 총 10여곳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이 8일 진행됐다.
이는 지난 1월 전국 단위 대형 부패범죄를 수사하기 위해 꾸려진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이 정식 출범한 이후 5개월여 만에 수사에 착수하는 첫 사건이라 귀추가 주목된다.
검찰은 이날 오전 8시 서울 중구 소재 대우조선해양 본사와 경남 거제시 옥포조선소 등에 검사와 수사관 150여명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였다. 또한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산업은행과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등 이날 총 10여곳에서 압수수색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전직 경영진 일부의 자택 등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에서 내부 문건과 회계장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대우조선해양이 회사 부실을 은폐하기 위해 수년간 분식회계를 저지른 단서를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경영진이 경영 비리를 저지르고도 이를 은폐한 정황을 잡고 수사 중이다.
대우조선해양의 남상태 전 사장과 고재호 전 사장 등 경영 부실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지목된 전직 최고경영자들은 이미 출국금지된 상태다.
앞서 대우조선해양은 수천억원씩 영업이익을 냈다고 발표한 2013년과 2014년에도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최근 재무제표 정정 공시를 한 바 있다.
검찰이 이날 산업은행과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에서 대우조선 관련 자료를 압수수색한 것도 분식회계 의혹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한 차원이다.
검찰 관계자는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됐고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최대주주로서 경영에 관여하는 등 사실상 공기업처럼 운영되는 대우조선해양에서 분식회계 및 경영진 비리 등 수사 단서가 다수 발견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은 서울중앙지검과 창원지검에서 진행하던 사건을 이첩받아 기존에 축적해 둔 대우조선해양의 범죄 첩보와 함께 대대적인 수사를 벌일 계획이다.
앞서 대우조선해양 감사위원회는 2015년 10월과 올해 1월 전 경영진의 부실경영 책임 여부를 조사해 달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서울중앙지검과 창원지검에 낸 바 있다.
이에 대해 검찰 측은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이 재임한 2006~2015년이 경영진 비리 수사의 주된 범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검찰은 일단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및 부실경영 의혹 수사에 집중할 방침이지만 추가로 확보되는 단서에 따라 새로운 방향의 수사를 벌일 가능성도 있다.
이는 대우조선해양이 2010년부터 추진했다가 2013년 중단한 오만 선상호텔 사업 등 해외 사업을 방만하게 벌이다 손해를 떠안았다는 의혹과 몇몇 업체에 일감을 몰아줬다는 의혹 등이 업계에서 제기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경영부실 은폐 의혹 등이 제기된 대우조선해양 본사와 경남 거제시 옥포조선소 등 대우조선 업체 및 산업은행 등 총 10여곳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이 8일 진행됐다.
이는 지난 1월 전국 단위 대형 부패범죄를 수사하기 위해 꾸려진 검찰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이 정식 출범한 이후 5개월여 만에 수사에 착수하는 첫 사건이라 귀추가 주목된다.
검찰은 이날 오전 8시 서울 중구 소재 대우조선해양 본사와 경남 거제시 옥포조선소 등에 검사와 수사관 150여명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였다. 또한 서울 영등포구에 있는 산업은행과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등 이날 총 10여곳에서 압수수색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전직 경영진 일부의 자택 등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번 압수수색에서 내부 문건과 회계장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검찰은 대우조선해양이 회사 부실을 은폐하기 위해 수년간 분식회계를 저지른 단서를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경영진이 경영 비리를 저지르고도 이를 은폐한 정황을 잡고 수사 중이다.
대우조선해양의 남상태 전 사장과 고재호 전 사장 등 경영 부실에 책임이 있는 것으로 지목된 전직 최고경영자들은 이미 출국금지된 상태다.
앞서 대우조선해양은 수천억원씩 영업이익을 냈다고 발표한 2013년과 2014년에도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했다고 최근 재무제표 정정 공시를 한 바 있다.
검찰이 이날 산업은행과 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에서 대우조선 관련 자료를 압수수색한 것도 분식회계 의혹과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한 차원이다.
검찰 관계자는 “대규모 공적자금이 투입됐고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최대주주로서 경영에 관여하는 등 사실상 공기업처럼 운영되는 대우조선해양에서 분식회계 및 경영진 비리 등 수사 단서가 다수 발견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부패범죄특별수사단은 서울중앙지검과 창원지검에서 진행하던 사건을 이첩받아 기존에 축적해 둔 대우조선해양의 범죄 첩보와 함께 대대적인 수사를 벌일 계획이다.
앞서 대우조선해양 감사위원회는 2015년 10월과 올해 1월 전 경영진의 부실경영 책임 여부를 조사해 달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서울중앙지검과 창원지검에 낸 바 있다.
이에 대해 검찰 측은 남상태·고재호 전 사장이 재임한 2006~2015년이 경영진 비리 수사의 주된 범위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검찰은 일단 대우조선해양의 분식회계 및 부실경영 의혹 수사에 집중할 방침이지만 추가로 확보되는 단서에 따라 새로운 방향의 수사를 벌일 가능성도 있다.
이는 대우조선해양이 2010년부터 추진했다가 2013년 중단한 오만 선상호텔 사업 등 해외 사업을 방만하게 벌이다 손해를 떠안았다는 의혹과 몇몇 업체에 일감을 몰아줬다는 의혹 등이 업계에서 제기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