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에 감염병 전담 부서 신설·증원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16-08-11 14:00:00
행자부, '감염병 대응 조직 개편 방안' 마련 지자체에 통보
[시민일보=이대우 기자]메르스나 지카바이러스 등 감염병을 초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에 감염병을 전담하는 부서가 생긴다.
행정자치부는 이같은 내용으로 한 '지자체 감염병 대응 조직 개편 방안'을 마련해 각 지자체에 통보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개편안에 따르면 시ㆍ도별로 감염병 전담 인력을 두고 질병관리본부나 시ㆍ도 감염병관리본부 등과 민관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또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에 감염병 검사 전담 부서를 만들어 관련 전문성을 높인다.
특히 각 보건소에 최소 3명 이상의 감염병 전담팀이나 계를 설치하고 이를 위해 전국 254개 보건소에 총 283명을 증원한다.
이번 개편은 메르스나 지카바이러스처럼 주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신종 감염병이 생겨났지만, 지자체의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서다.
따라서 지역에서 감염병 조기발견·초동대처·후속관리가 모두 이뤄질 수 있도록 조직을 개편했다는 것.
지금까지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부 등지에서 식약품·농산물 검사와 감염병 관련 검사를 같이 해왔다.
그러나 2003년 감염병 검사 건수가 29만9000여건이었던 것에 비해, 지난해 76만5000여건으로 2.6배나 늘어나 전담 부서의 필요성이 제기된 상태다.
행자부는 "보건소는 감염병이 생겼을 때 신고접수, 현장출동, 환자이송 등 초동 대응을 맡아 확산을 맡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와 연계해 24시간 상황 관리도 해야 한다"고 확충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행자부는 인사위원회 의결을 통해 연봉의 120% 이상을 지급하는 등 보수를 우대해 우수한 전문인력을 적극 유치하기로 했다. 감염병 관련 전문 직위를 만들고, 보직을 맡는 필수 기간을 늘려 이 분야에서 오래 일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시민일보=이대우 기자]메르스나 지카바이러스 등 감염병을 초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에 감염병을 전담하는 부서가 생긴다.
행정자치부는 이같은 내용으로 한 '지자체 감염병 대응 조직 개편 방안'을 마련해 각 지자체에 통보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개편안에 따르면 시ㆍ도별로 감염병 전담 인력을 두고 질병관리본부나 시ㆍ도 감염병관리본부 등과 민관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또 시ㆍ도 보건환경연구원에 감염병 검사 전담 부서를 만들어 관련 전문성을 높인다.
특히 각 보건소에 최소 3명 이상의 감염병 전담팀이나 계를 설치하고 이를 위해 전국 254개 보건소에 총 283명을 증원한다.
이번 개편은 메르스나 지카바이러스처럼 주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신종 감염병이 생겨났지만, 지자체의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서다.
따라서 지역에서 감염병 조기발견·초동대처·후속관리가 모두 이뤄질 수 있도록 조직을 개편했다는 것.
지금까지 보건환경연구원 보건연구부 등지에서 식약품·농산물 검사와 감염병 관련 검사를 같이 해왔다.
그러나 2003년 감염병 검사 건수가 29만9000여건이었던 것에 비해, 지난해 76만5000여건으로 2.6배나 늘어나 전담 부서의 필요성이 제기된 상태다.
행자부는 "보건소는 감염병이 생겼을 때 신고접수, 현장출동, 환자이송 등 초동 대응을 맡아 확산을 맡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센터와 연계해 24시간 상황 관리도 해야 한다"고 확충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행자부는 인사위원회 의결을 통해 연봉의 120% 이상을 지급하는 등 보수를 우대해 우수한 전문인력을 적극 유치하기로 했다. 감염병 관련 전문 직위를 만들고, 보직을 맡는 필수 기간을 늘려 이 분야에서 오래 일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