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의정부시 수락산 자락 서계 박세당 고택

이기홍

lkh@siminilbo.co.kr | 2016-11-22 08:00:00

세월의 흔적 담긴 사랑채엔 선비의 풍취


수락산 옛 이야기 찾아 떠나는 힐링 여행


조선 후기 서계 선생이 은거하던 곳


도봉산 줄기 한 눈에 들어오는 명당


초등생 현장학습장ㆍ숙박체험 인기


명성황후 머물러 기도했던 용굴암



[의정부=이기홍 기자] 경기 의정부시 수락산 자락에 위치한 서계 박세당 고택이 초등학생들의 현장학습장과 숙박체험, 오감만족 힐링을 하기에 적합한 곳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고택(사랑채)은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93호로, 의정부시 동일로 128번길 36에 위치해있다. 집 바로 뒤는 수락산이고 마루에 앉아 바라보면 도봉산 산줄기가 멀리 눈에 들어온다. 풍수를 잘 모르는 눈으로 보아도 명당임을 한눈에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서계 박세당 선생이 은거했던 사랑채다. 건물의 구조는 앞면 5칸, 옆면 2칸반으로 누마루가 덧붙어 '을(乙)'자형이다. 세월의 떼(때)가 묻어 있지만 바로 그런 풍취 때문에 오히려 옛 선비의 처소로서 품위를 간직하고 있다.


이에 <시민일보>에서는 조선 대표 사상가인 서계 박세당의 발자취와 의정부지역 숨겨진 명소로 자리잡은 박세당 고택, 그기로 고택이 위치한 수락산 주변의 관광지 등을 살펴보았다.


■서계 박세당은 ...


서계 박세당(1629~1703)은 17세기 후반 조선을 대표하는 사상가의 한 사람이다. 병자호란 이후 조선의 정계를 움직이던 양반사대부들은 숭명배청, 복수설치를 내세우며 주자학으로 중무장해 다른 사상을 허용하지 않았다.


그 맨 앞에 우암 송시열이 있었다. 이때 송시열과 같은 서인계 중진으로 명망이 높았던 박세당이 나섰다. 그는 비록 주자의 해석이라 해도 모두 옳은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박세당은 1668년 나이 마흔에 벼슬을 버리고 수락산 석천동에 들어왔다. 그는 자신의 호를'서계(西溪)'라 했다. 서계라는 그의 호에는 자신보다 먼저 이곳에 살았던 메월당(매월당) 김시습을 흠모하는 정과 수락산을 사랑하는 마음이 오롯이 들어 있다.


훗날 나라에서는 박태보의 학문과 충절을 높이 평가해 영의정에 추증하는 동시에 시호를 문열(文列)이라 하고 그를 추모하는 뜻에서 노강서원을 건립했다. 노강서원은 흥선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도 살아남은 47개 서원의 하나였으나 한국전쟁 때 그만 소실되고 말았다. 1968년 후손들이 이곳으로 옮겨 세웠다.


조선 숙종시대 최고의 문필가였던 서계 박세당 선생의 필적 서계유묵(西溪遺墨)이 국가 보물로 지정돼 있다.


박세당 선생이 69세 때인 1697년(숙종 23년) 친필로 제자들과 아들 박태보 등 친척에게 쓴 편지를 묶은 서계유묵 3권(첩)이 국가지정문화재인 제1674호 보물로 지정됐다.


박세당 선생의 자연을 노래한 시 구절과 은자를 상징하는 삶의 철학이 담겨 있는 서계유묵은 가로 35㎝, 세로 24㎝ 크기의 첩장(帖裝)구조로 된 지본묵서(紙本墨書)로 의정부시 장암동에 사는 10대 손인 박범서씨가 소장해오다가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현재는 보관 중이다.


박세당 선생의 학문연구와 후진양성에 힘쓰며 저술활동을 하던 사랑채(경기도 문화재자료 93호)와 그의 묘(경기도 문화재자료 113호), 아들 박태보의 위패 사당이 있는 노강서원(경기도 기념물 41호)은 의정부시 장암동 수락산 기슭에 위치해 있다.


■서계 박세당 고택 등 힐링의 장소로 적격...


전통·문화 따라 오감만족 힐링여행을 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의정부다. 의정부에는 향토유적을 비롯해 전통사찰, 산과 하천, 공원 등 볼거리가 가득하다. 의정부의 명물부대찌개 거리와 경기북부 최대 규모의 재래시장인 제일시장, 도심속 공원 행복로 등은 의정부를 방문한 사람이라면 한번은 꼭 들러봐야 할 장소다.


원도봉산에 위치한 망월사, 문화예술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의정부 예술의전당, 자연친화적 숲길인 소풍길 등도 추천하는 장소다. 보고, 느끼고, 즐기고, 맛볼 수 있는 의정부시의 명소들이다.


경기도 전통사찰인 망월사를 비롯해 경기도 기념물인 송산사지, 신숙주 선생 묘, 행복로, 제일시장, 의정부예술의전당, 소풍길, 부대찌개거리, 낙양동물사랑공원 등이다.


박세당 고택이 위치한 수락산(水落山)은 여름과 가을은 물론 사계절 잘 어울리는 산이다.


'수락'이라는 이름도 '물이 굴러 떨어진다'는 데서 유래한 것이다. 수락산은 산 전체가 화강암과 모래로 이뤄진 골산이다. 그렇지만 억세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그래서인지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는 산'으로 수락산을 소개하는 글이 많다. 산을 잘 아는 사람은 결코 이 산을 호락호락한 산이라 말하지 않는다.


수락산은 경기도 의정부시와 남양주시에 걸쳐 있다. 조선시대에는 양주목에 속해 있던 산이다. 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 신경준이 지은 '산경표'에는 수락산을 '백두대간에서 뻗어 내린 한북정맥에 속하는 산'으로 소개하고 있다.


'신중동국여지승람'에는 불암산 서북쪽에 있다고 했고 '여지도서'에는 '포천 축성령에서 남쪽으로 나온 산'이라고 하여 산맥이 이어졌는지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수락산은 산이 베푸는'덕(德)'을 일찌감치 알고 자신의 품속에 튼 숱한 사람들을 먹여 살리는 역할에도 충실하다. 동쪽 내원암 일대와 서쪽 석림사 일대도 물이 좋아 여름 내내 인산인해를 이룬다. 수도권에 있어 찾기 쉬울 뿐 아니라 무엇보다 맑고 시원한 계곡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학림사로 가는 길목 산행코스를 알리는 안내판이 서 있다. 안내판에 소개된 코스만 해도 7개나 될 정도로 수락산을 오르는 길은 다양하다. 또한 수락산에 위치하고 있는 학림사는 조계사의 말사로 671년(신라 문무왕11) 원효(元曉)가 창건한 가람이다. 대웅전 옆에 자리 잡은 소나무 그늘에서 잘생긴 미륵불은 볼 만하다.


산 허리를 한참 돌아 명성황후가 머물렀던 용굴암은 역시 명당이다. 터는 그리 넓지 않았으나 전망 좋았다.


1882년(고종 19) 시아버지 대원군의 섭정에 밀려난 명성황후가 이 바위굴에서 7일 기도를 드리고 나서, 다시 집정을 하게 되자 그 공덕을 기리기 위해 이곳에 법당을 지었다고 한다.


자연동굴인 용암굴에 나한상을 모셔 놓고 있다. 대웅전에 낮으니 불암산 전경이 한눈에 들어온다. 가파른 계단을 오르니 문득 바람이 시원하다. 도솔봉이다. 여기서부터 수락산 주능선이 1.3km 펼쳐진다. 탱크바위, 철모바위, 배난바위 등 이어지는 산봉우리 이름이 재미있다.


수락산 정상에는 태극기가 바람이 펄럭이고 있다. 봉우리 주위에는 등산객들으로 가득해 앉을 곳이 없다. 멀리 북한산과 도봉산이 보였다. 불암산에서 출발해 이곳 수락산을 거쳐 사패산-도봉산-북한산까지 이어지는 코스를 하루 만에 종주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 고유 명절 때는 등산을 즐기는 메니아 들로 수락산은 울긋불긋할 정도로 붐비고 있다. 또한 서계 박세당 선생의 업적을 보고자 한옥집을 찾는 사람들도 날로날로 늘어나고 있다. 산과 함께 하는 역사여행으로 서계 박세당 선생의 고택을 방문하고 난 후 수락산 정상을 따라 등산을 즐겨볼 만 하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