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봉투 만찬’ 이영렬 · 안태근 사의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17-05-18 17:13:36
文 감찰 지시 하루만에 표명
李 “국민께 심려 끼쳐 송구”
安 “조사에 성실히 임할 것”
靑 “보고 후 수리여부 결정”
▲ 문재인 대통령은 17일 이영렬 서울중앙지검장(왼쪽)과 안태근 법무부 검찰국장(오른쪽)간 '돈봉투 만찬사건'에 대한 감찰을 법무부와 검찰청에 지시했다.(사진제공=연합뉴스)
[시민일보=여영준 기자]'돈봉투 만찬' 파문으로 검찰과 법무부 감찰을 받게된 이영렬 서울중앙지검과 안태근 법무부 검찰국장의 18일 오전 전격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청와대 측은 문 대통령에게 보고한 뒤 사표수리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돈봉투 만찬' 사건과 관련한 감찰을 지시한 지 하루만에 이영렬 지검장과 안태근 국장이 전격 사의를 표명했다.
이 지검장은 이날 오전 취재진에게 보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에서 "국민께 심려를 끼쳐 송구합니다. 공직에서 물러나겠습니다. 감찰조사에는 성실히 임하겠습니다. 그간 많은 도움에 감사드립니다"라고 밝혔다.
안 국장은 같은날 법무부를 통해 공식 입장을 내며 "이번 사건에 관해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현 상황에서 공직 수행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돼 사의를 표명하고자 합니다. 사의 표명과 무관하게 앞으로 진행될 조사에 성실하게 임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이 지검장과 안 국장의 사표 수리 여부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표 수리 여부는 대통령 보고 이후 검토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법무부와 대검의 감찰이 진행 중인 만큼 이 지검장과 안 국장에 대한 사표가 곧바로 수리되지 않고 현직을 유지한 채 감찰조사를 받게 될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이는 원칙적으로 감찰대상은 면직처리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한 ' 청와대 관계자는 "그렇다 아니다 지금 답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에 앞서 지난 15일 김수남 검찰총장은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으로 임명된 뒤 "소임을 다했다"며 자리에서 물러난 바 있다.
검찰총장과 서울중앙지검장, 그리고 검찰국장이 자리를 떠나거나 사퇴의 뜻을 밝히면서 검찰 수뇌부와 지휘부의 공백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오는 6월께 새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 인사 이후 진행된 검찰 인사가 매우 큰 폭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李 “국민께 심려 끼쳐 송구”
安 “조사에 성실히 임할 것”
靑 “보고 후 수리여부 결정”
앞서 전날 문재인 대통령이 '돈봉투 만찬' 사건과 관련한 감찰을 지시한 지 하루만에 이영렬 지검장과 안태근 국장이 전격 사의를 표명했다.
이 지검장은 이날 오전 취재진에게 보낸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에서 "국민께 심려를 끼쳐 송구합니다. 공직에서 물러나겠습니다. 감찰조사에는 성실히 임하겠습니다. 그간 많은 도움에 감사드립니다"라고 밝혔다.
안 국장은 같은날 법무부를 통해 공식 입장을 내며 "이번 사건에 관해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현 상황에서 공직 수행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돼 사의를 표명하고자 합니다. 사의 표명과 무관하게 앞으로 진행될 조사에 성실하게 임하겠습니다"라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사표 수리 여부는 대통령 보고 이후 검토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다만 법무부와 대검의 감찰이 진행 중인 만큼 이 지검장과 안 국장에 대한 사표가 곧바로 수리되지 않고 현직을 유지한 채 감찰조사를 받게 될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는 모양새다. 이는 원칙적으로 감찰대상은 면직처리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한 ' 청와대 관계자는 "그렇다 아니다 지금 답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에 앞서 지난 15일 김수남 검찰총장은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으로 임명된 뒤 "소임을 다했다"며 자리에서 물러난 바 있다.
검찰총장과 서울중앙지검장, 그리고 검찰국장이 자리를 떠나거나 사퇴의 뜻을 밝히면서 검찰 수뇌부와 지휘부의 공백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오는 6월께 새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 인사 이후 진행된 검찰 인사가 매우 큰 폭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