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갈수록 커지는 의혹덩어리에 무색해진 청와대
문 대통령, 강 지명철회 목소리 높이는 야당 요구 수용할까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7-05-31 16:10:12
이에 따라 "흠결이 있지만 능력에 방점을 두어 발탁했다"고 해명하며 강지명자 옹호에 나섰던 청와대도 덩달아 무색해졌다는 지적이다.
실제 지난해 6월 당시 강 지명자는 자신이 사무차장보로 근무했던 OCHA 조직에 대해 심각한 문제가 있다며 전면적인 개혁을 요구하는 당시 유엔 사무차장 보고서를 접한 직후 사표를 냈다.
31일 '민중의 소리'가 입수한 '보고서'에 따르면 강 지명자는 지난 2013년 3월 OCHA 사무차장보로 취임한 이후 OCHA 기구의 조직 등 핵심 주요업무를 총괄해왔다. 특히 해당 보고서가 강 지명자의 취임 이후 OCHA 문제점을 비판한 시점을 감안하면 장관 인사청문회 검증을 앞두고 있는 강 지명자에게 자질 논란으로 치명타를 안길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현재 세간에서는 강 지명자 스캔들과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이 제시한 5대 공직자 배제기준 원칙 중 무려 4가지에 해당하는 불법사항이 지적되는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강 지명자 딸이 해당 회사를 설립할 당시 강 지명자의 직속 부하직원이었던 우모씨와 그의 형이 초기투자금 대부분을 부담한 사실이 알려지자 "이 회사 창업과 관련해 개입한 바 없다"고 선을 그은 강 지명자 답변이 새로운 논란거리로 부상하는 분위기다.
강 지명자 해명과는 달리 당사자인 우씨는 “강 후보자와 사전 협의를 했다”며 상반된 주장을 펴고 있어 거짓말 논란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강 지명자 부하 외교관이 이곳에 투자한 것은 물론 해당 투자금이 장녀명의 통장에 입금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법인자금 유용 의혹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강 후보자의 지명철회를 요구하는 야당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면서 문재인 대통령의 향후 선택에 귀추가 주목된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