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선 “文정부 ‘베를린 구상’, 북한 오판 초래...부질없는 주장 " 비판
한국-바른도 “대화보다 압박 필요” 가세...민주 “조변석개하면 국민 불안”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17-08-01 11:35:40
박 위원장은 이날 YTN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제제와 베를린 구상 병행에 문제가 없다는 현 정부 주장과 관련해 “과거 김대중,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에 북한은 핵 포기를 조건으로 대화를 했지만 이제는 핵을 포기 안한다고 자신들의 헌법에 규정해놨다”며 “국제사회가 압박과 제제를 통해 비핵화를 하려는 마당에, 비핵화 문제를 가지고 대화하자는 것은 아무런 실효성도 없다”고 성토했다.
이어 “북한은 (문재인 대통령의) 이산가족 상봉 회담 제의에 ICBM을 쏘는 것으로 대응했다”며 “지금은 한미동맹을 기초로 국제사회와 공조해 압박과 제제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사드 배치 논란과 관련해서도 “사드를 먼저 배치하고 이후 환경평가를 하겠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문 대통령이 후보시절 사드배치를 반대했다가, 또 대통령이 된 뒤에는 복안이 있다고 하는 등 말을 바꾸고 있다”고 비난했다.
자유한국당 김정재 원내대변인도 전날 “대통령에게 지금 필요한 것은 급변하는 대북관계 속에서 강력하고 단호한 대북 제재 정책을 실행할 결단력”이라며 “한국당은 정부가 더 이상 북한과는 대화 여지가 없음을 직시하고 국제사회와 공조하여 강력하고 단호하게 대북 제재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고 압박했다.
하지만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원내대표 회의실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통해 "대북 원칙이 조변석개하면 국민 불안은 가중될 것"이라며 정부의 베를린 구상 변경 가능성을 일축했다.
우 원내대표는 "북한의 도발 여부와 정세 변화에 따라 제재, 압박, 대화 중 방점이 찍히는 부분은 달라질 수 있다"면서도 "문재인 대통령이 베를린 구상에서 밝힌 어떤 경우에도 북한과 대화한다는 원칙과 사드 배치에 대한 근본적인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