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 非정규직 임금격차 206만원
이진원
yjw@siminilbo.co.kr | 2017-08-31 09:00:00
작년 6월보다 2.3% 증가
월평균 근로시간 173시간
[시민일보=이진원 기자]상용직과 임시직 근로자간 임극격차가 지난해보다 더 큰 격차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으로 사업체 노동력 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용직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59만1000원, 임시·일용직은 153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양자 간 임금 격차는 206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201만4000원보다 2.3% 더 벌어진 것이다.
상용직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임시·일용직 포함)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40만7000원으로 11만1000원(3.4%) 늘었다. 반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2.5시간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시간(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기준으로 농림·어업, 가사서비스업을 제외한 전 산업에 걸쳐 1인 이상 표본 사업체 2만5000곳을 조사한 결과, 사업체 종사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만8000명(1.9%) 늘어난 1696만5000명으로 파악됐다.
상용직 근로자 수는 27만8000명(2.0%), 임시·일용직은 2만명(1.1%), 일정한 급여 없이 봉사료 또는 판매수수료 등을 받는 기타 종사자는 2만명(2.1%) 각각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이 9만2000명, 건설업 5만6000명, 도·소매업 4만5000명 가량 종사자 수가 각각 증가한 반면 전자부품과 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은 2000명, 조선업을 포함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3만5000명 줄었다.
한편, 입직자(신규·경력 취업 및 동일 사업체 간 이동)는 78만8000명으로 10만1000명(14.7%), 이직자는 81만7000명으로 10만명(13.9%) 각각 증가하는 등 노동 이동성은 확대됐다.
월평균 근로시간 173시간
30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으로 사업체 노동력 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용직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59만1000원, 임시·일용직은 153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양자 간 임금 격차는 206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 201만4000원보다 2.3% 더 벌어진 것이다.
상용직 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임시·일용직 포함)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40만7000원으로 11만1000원(3.4%) 늘었다. 반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2.5시간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시간(1.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기준으로 농림·어업, 가사서비스업을 제외한 전 산업에 걸쳐 1인 이상 표본 사업체 2만5000곳을 조사한 결과, 사업체 종사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31만8000명(1.9%) 늘어난 1696만5000명으로 파악됐다.
상용직 근로자 수는 27만8000명(2.0%), 임시·일용직은 2만명(1.1%), 일정한 급여 없이 봉사료 또는 판매수수료 등을 받는 기타 종사자는 2만명(2.1%) 각각 증가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이 9만2000명, 건설업 5만6000명, 도·소매업 4만5000명 가량 종사자 수가 각각 증가한 반면 전자부품과 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은 2000명, 조선업을 포함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3만5000명 줄었다.
한편, 입직자(신규·경력 취업 및 동일 사업체 간 이동)는 78만8000명으로 10만1000명(14.7%), 이직자는 81만7000명으로 10만명(13.9%) 각각 증가하는 등 노동 이동성은 확대됐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