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경선 연기론’ 소멸하나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1-05-20 09:55:59

송영길 “당헌-당규에 ‘경선룰’ 이미 정해져 있다”
이광재 “지도부와 이재명 지사 결심에 달린 문제”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대통령선거 후보 선출 일정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그동안 ‘원칙’만 강조하던 송영길 대표가 최근 “당헌·당규에 경선 룰이 이미 정해져 있다”라고 못 박음에 따라 ‘경선 연기론’은 소멸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친문(친문재인) 진영에서는 여전히 코로나19 방역 상황, 컨벤션 효과 등을 이유로 ‘경선 연기론’ 주장을 이어가는 상황이어서 그대로 진행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20일 현재 민주당 당헌 88조는 ‘대통령 후보자의 선출은 선거일 전 180일까지 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20대 대선이 내년 3월 9일 치러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180일 전인 올해 9월 10일까지는 대선 후보를 확정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런 ‘경선 룰’은 지난해 8월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확정됐다. 그때도 “대선 후보 선출 시점을 선거일 100일 전으로 늦춰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안규백 당시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은 “대선 100일 전 후보를 선출할 경우 2021년 가을 정기국회와 일정이 겹쳐 국회가 무력화될 가능성이 있다”라며 경선 연기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같은 규정을 적용하면 민주당은 오는 6월 후보 등록을 시작해 7월께 본선 후보를 6명 정도로 추리는 예비경선(컷오프)을 해야 한다. 여기서 50% 이상 득표자가 안 나오면 9월 초까지 1·2위 후보 간 결선투표를 하게 된다.


그런데 이달 들어 일부 친문 인사를 중심으로 경선 일정을 미뤄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기 시작했다. 전재수 민주당 의원은 지난 6일 “국민이 코로나19와의 전쟁을 1년 이상 치르고 있는 상황에서 대선 후보 경선을 하는 건 국민의 고통을 외면하는 것”이라며 “국민 3000만 명 이상이 백신을 접종해 집단면역이 가시권에 들어왔을 때 경선을 해도 늦지 않다”고 밝혔다. 이에 다른 일부 의원들도 “9월에 후보를 뽑으면 우리 후보가 먼저 언론과 야당의 검증 시험대에 오르게 된다”, “우리가 먼저 매를 맞아야 할 이유가 없다”는 등의 의견을 내놓으며 동조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할 것으로 알려진 김두관 의원도 경선 연기를 주장하고 있다.


경선 연기를 주장하는 인사들은 후보 단일화 등 대형 정치 이벤트 직후 지지율이 오르는 현상인 ‘컨벤션 효과’를 근거로 내세운다. 전 의원은 “저쪽은 (단일화 등으로) 내년 1월까지 후보 경선을 할 텐데 우리만 먼저 뽑아놓으면 압도당할 우려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단일화를 거쳐 양대 진영 후보가 최종 확정된 시점을 고려하면 컨벤션 효과가 먹혀들어간 사례가 적지 않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경우 2012년 4월에 일찌감치 새천년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됐지만, 실질적으로 최종 후보가 된 건 정몽준 당시 국민통합21 후보와 단일화에 합의한 11월 25일로 한때 10%대로 하락한 노 전 대통령 지지율이 단일화 과정을 거쳐 반등한 것은 컨벤션 효과에 따른 수혜였다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하지만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반대로 경선룰을 바꾸는 건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당내 일각에서는 이 지사가 대승적으로 경선 연기를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여권 원로인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은 “이 지사가 대범한 자세를 보이면 누구도 넘보기 어려운 성을 쌓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여론조사 선두 이재명 경기지사 측과 그 뒤를 쫓는 이낙연 전 대표, 정세균 전 총리 측의 입장이 서로 달라 이대로 실행될지는 불투명하다”며 “당헌·당규에 중요한 사유가 있으면 후보 등록 시기를 바꿀 수 있다는 예외 조항이 있는 것도 변수”라고 말했다.


당내 대권 주자인 이광재 의원은 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경선 연기론에 대해 "결국 지도부와 1위 후보인 이재명 지사의 결심에 달린 문제"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 인터뷰를 통해 "시합을 앞두고 경기 규칙을 바꾸는 건 쉽지 않다고 본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 규칙을 바꾸기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경기 규칙이 바뀌지 않더라도 따르겠다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