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윤석열 갈등, '정부 탈원전-대검 특활비'로 확전?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0-11-08 11:51:59
추, 월성 1호기 관련 압수수색 하루만에 감찰부에 조사 지시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 사이의 갈등 상황이 갈수록 그 수위를 높이면서 '정부와 검찰'을 저격하는 자충수가 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실제 8일 법조계 등에 따르면 검찰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직결되는 월성 1호기 사건과 관련해 전방위 압수수색을 감행한 지 하루 만에 추 장관은 대검찰청 감찰부에 대검찰청 등의 특수활동비 지급과 배정 내역을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지난 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여당 의원의 관련 질의에 추 장관이 "(윤 총장이) 특활비를 주머닛돈처럼 사용한다"고 언급한 데 이은 후속 조치로 특히 검찰 특활비 문제는 '월성 원전 1호기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에 대한 대전지검의 강제수사와 맞물려 제기됐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고 있다.
검찰의 대대적인 압수수색은 앞서 국민의힘이 지난달 22일 "원전 경제성 평가 조작과 조기 폐쇄 결정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정부 관계자들을 대전지검에 고발한 지 2주 만인 지난 5, 6일 전격 시행됐다.
이에 대해 여권은 이번 탈원전 수사를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원전 정책을 공격해 정부를 흔들려는 야당의 전략에 호응한 윤 총장의 '역공'으로 간주해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 등은 '야당발 청부수사'로 규정하는 등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내며 반발했고 추 장관도 법사위에서 "야당의 고발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각하감"이라며 여당 지원사격에 나섰다.
특히 윤 총장의 측근으로 분류되는 이두봉 대전지검장과 이상현 형사5부장이 월성 1호기 사건을 맡았다는 점을 부각하며 전격적인 수사의 배후로 윤 총장을 지목하고 있다.
이 지검장은 2018년 윤 총장이 서울중앙지검장으로 재직할 당시 함께 일했고 윤 총장 취임 이후 대검 과학수사부장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이 부장검사도 2018년 서울중앙지검 부부장으로 있어 '윤석열 사단'으로 분류된다.
대전지검은 "압수수색은 감사원의 감사 결과와 그 자료, 법원이 발부한 압수수색 영장에 의해 집행됐다"며 정당한 수사 절차임을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추 장관의 검찰 특활비 조사 지시가 내려진 것이다.
추 장관은 지난달 16일 '라임 술접대 의혹' 검사들에 대한 감찰 지시 이후 이번 특활비 조사까지 한달새 4차례나 윤 총장을 겨냥한 감찰·조사를 지시했다.
실제 지난달 22일에는 '라임 수사 지연·무마' 의혹에 대한 합동감찰을 지시했고, 닷새 뒤인 27일은 2018년 수사의뢰된 옵티머스자산운용 펀드사기 사건 무혐의 처분에 대한 감찰 지시를 내렸다.
또한 수사지휘권을 행사해 윤 총장 가족·측근 관련 의혹 수사에서 윤 총장의 지휘를 배제하기도 했다.
이에 윤 총장은 지난달 22일 국감에서 추 장관을 겨냥한 '작심 발언'을 쏟아낸 이후 전국 검찰청 순회 간담회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지난 3일 신임 부장검사를 대상으로 한 강연에서는 "살아있는 권력 등 사회적 강자의 범죄를 엄벌해 국민의 검찰이 되어야 한다"고 정부를 겨냥한 듯한 작심 발언을 하기도 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