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 교수 “학교의 그런 꼼수 교수들도 예측 못 해”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21-09-16 12:48:31

“尹 대통령 될 경우 불이익 생각한 결정인 듯”

[시민일보 = 전용혁 기자]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부인 김건희씨를 둘러싼 ‘연구 부정행위 의혹’에 대해 국민대 연구윤리위원회가 ‘검증 불가’ 입장을 밝힌 것을 두고 학교 내부에서도 거센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국민대 교수는 16일 오전 MBC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저희 (교수들도)학교의 그런 꼼수는 예측을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국민대 연구윤리위원회의 해당 부칙 조항을 보면 경과기간을 규정한 것 뿐이지 오히려 거꾸로 본 규정에 보면 접수된 연구부정행위 제보에 대해 시효와 관계없이 검증함을 원칙으로 한다고 돼 있고, 부칙에서도 만 5년 경과한 부정행위라고 할지라도 공공의 복지나 안전에 위험이 발생하거나 우려가 있는 경우 처리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조사를 안 한 것은 큰 문제”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학교측의 이 같은 의도에 대해 “정치적인 이유인 것 같은데 혹시 그분의 남편이 대통령이 됐을 때 불이익을 당한다거나, 그대로 둔다면 이익이 있겠다는 생각이 있지 않았겠는가”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학교 안에서 많은 교수님들이 분노 또는 자괴감을 느끼고 있고 나름대로 가만히 있을 수 없다는 생각에 서로 의견을 나누고 있다”며 “아직은 교수회를 비롯해 어떤 학내 단체도 조직적으로 입장을 표명한 것은 없지만 언론에 계속 보도가 되니까 어떤 형태로든 이런 문제를 제기하려는 움직임이 더 커지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학생들의 경우에도 학부생은 말할 것도 없지만 대학원생들의 경우 굉장히 큰 분노를 느끼고 있다는 걸 이런 저런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논문 내용에 대해서는 “일부 검토해보니 내용 표절, 심사위원 필체 등의 부분에서 심각한 연구윤리 위반행위들이 보였다”며 “처음에는 언론이 과도하게 보도를 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 나름대로 객관적으로 보려고 노력했지만 보도대로 문제가 너무 많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학교측의 결정 번복 가능성에 대해서는 “학내ㆍ외에서 이런 부당한 조치에 대해 항의하고 압박할 경우 얼마든지 재조사를 통해 진정한 결론을 낼 수 있는 계기가 분명히 있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