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광역시장, 시내버스 파업 긴급 호소문 발표
“파업 즉시 멈추고, 추후 협의체 구성해 논의”
지노위 조정 임금인상 3% 수용 촉구…노사 힘겨루기 아닌 공감‧타협을
시‧의회‧노조‧사측‧전문가 협의체 구성해 준공영제 등 운영 해법 마련
정찬남 기자
jcrso@siminilbo.co.kr | 2025-06-16 08:01:39
[광주=정찬남 기자]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파업이 8일 째 지속됨에 따라 강기정 시장이 긴급 대시민 호소문을 발표했다.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지난 15일 오후 5시 시청 브리핑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오늘로 노사 양측은 시내버스 파업을 즉시 중단하고, 이후 광주시, 의회, 노조, 사측, 전문가들로 구성된 논의의 틀을 만들어 버스 준공영제에 대한 어려움과 개선방안 등에 대해 지혜를 모아가자”고 제안했다.
일단 임금협상 문제는 오늘로 종료하고, 이후 적정 논의의 틀을 통해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따른 어려움과 노동자 처우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해결하자는 것이다.
시내버스 노사는 그동안 6차례의 자율교섭과 4차례의 전남지방노동위원회 조정절차를 거쳤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가장 최근인 13일 전남지방노동위원회가 사측 제시안 2.5% 인상안과 노측 요구안 5% 이상 인상안을 절충해 3%의 인상안을 제시했는데 사측은 수용한 반면 노측이 거부해 협상이 결렬된 상태다.
광주시는 비상수송대책으로 ‘24시간 대책본부 운영체제 돌입’, ‘대체 교통수단으로 도시철도 12회 증편 운행’, ‘출‧퇴근시간 택시운행 확대’, ‘공공기관 차량 부제 해제’, ‘교육청 협조로 등하교 시간 조정’ 등을 시행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파업 장기화에 대비 전세버스 총 20개 노선 60여 대를 확보해 투입하기로 했다. 광주시는 회사 측의 요청이 있을 경우 전세버스를 즉시 투입할 계획이며, 우선 시급한 2개 노선 6대를 16일부터 투입해 운영한다.
강 시장은 “광주시는 한시라도 빨리 정상운행이 재개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면서 “노사 양측은 더 큰 사회적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대화를 이어가고, 시민 앞에 더 이상 ‘힘겨루기’가 아닌 ‘공감과 타협’의 모습을 보여줄 것을 요청한다”고 호소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