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이재명 표 '김은경 혁신위'에 냉소적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3-06-18 09:32:04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김은경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혁신위원장으로 임명하는 등 당 쇄신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당내 반응은 냉소적이다.
민주당 비명계 의원은 18일 "비정치인 혁신위원장이 총선을 앞두고 당을 얼마나 바꿀 수 있을지 당내 기대는 크지 않다"며 특히 "김 교수가 어떤 방향으로 혁신기구를 이끌어갈지조차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앞서 이재명 대표는 지난 1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은경 교수 영입 사실을 밝히며 "혁신기구가 우리 당과 정치를 새롭게 바꿀 수 있도록 이름부터 역할까지 모든 것을 맡기겠다"고 밝혔다.
'김은경 체제' 혁신기구가 향후 논의할 의제로는 △'2021년 돈 봉투 살포 의혹', '김남국 코인 의혹' 등 악재로부터 도덕성 회복 △총선 공천룰 등 당 제도 정비 △당내 계파 갈등 극복 △대의원제 폐지 △강성 팬덤 정치 결별 △이재명 체제 1년 평가 등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김 교수가 '2021년 돈 봉투 살포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만들었을 수도 있다"는 취지의 음모론을 제기하면서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같은 인식을 드러낸 김교수가 당내의 혁신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혁신위의 역할을 놓고도 지도부 내에서도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친명계인 정청래 최고위원은 전날 최고위에서 "이재명 지도부는 당원이 주인되는 정당을 만들겠다고 공약하고 당선됐다"며 "(김은경 혁신위원장이) "당원과 소통이 잘 되는 민주정당, 당원이 주인인 정당을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해주실 것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정 최고위원의 이같은 발언은 그동안 친명계가 주장한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영향력을 줄이고 권리당원 영향력을 늘리는 방안의 연장선이라는 해석이 따른다.
반면 비명계 고민정 최고위원은 같은 날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당내 민주화를 이루는 것도 필요하지만 민주당이 어떤 야당으로 자리매김해야 할까가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국민은 민주당에 무엇을 원하나, 어떤 탈바꿈을 해야 사랑받는 정당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을까(에 대한) 답을 얻고자 혁신위를 띄운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이 대표가 전권위임을 공언 했지만, 혁신기구의 혁신안을 당 지도부가 받아들일 의무가 없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한편 상법·보험법 전문가인 김 교수는 2020년 문재인 정부 시절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장(부원장)에 임명돼 올 3월까지 재직했다.
다만 2015년 당시 문재인 대표가 이끌던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당무감사위원으로 활동한 게 전부인 현실정치 경력에 대한 우려가 적지않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