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해양과 우주기술 융합해 신산업 육성 나선다!
7.28. 08:00 박형준 시장 주재, 해양·우주 기술 융합 신산업 육성 방안 집중 논의
지자체 최초 해양 나노 위성 제작, NASA와 국제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2023년 발사 추진
위성정보 활용 해양-ICT서비스 신시장 개척, 3대 전략·18개 추진과제 수립하고 향후 5년간 3천344억 원 투입 관련 분야 산업 육성
최성일 기자
look7780@siminilbo.co.kr | 2022-07-30 13:26:25
▲ 제29차 「비상경제대책회의」 개최 사진[부산=최성일 기자]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최근 민간 우주 산업 확대(뉴 스페이스) 흐름 속에서 부산이 가진 강점인 해양과 초소형 위성 등 우주 기술을 융합하는 특화 .선점 전략으로 신 산업 육성을 본격 추진한다.
유망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위해 정부 모태 펀드 기반의 300억 원 규모 해양 신 산업 육성 펀드를 연내 조성하여 지역의 해양 우주 융합 분야 스타트업 의 성장 재원도 마련한다. 해양 신 산업 분야 기업 설명회(IR)를 수시 개최하여 민간 투자도 활성화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 우주 스타트 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산업 은행이 부산으로 이전하면 지역의 해양 우주 융합 신 산업 분야 성장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민간 중심의 해양 우주 융합 신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지역 내외의 주요 기업들이 참여하는 협력 체로 (가칭)오션 투스 페이스(Ocean2Space) 얼 라이언 스 구축을 추진한다. 아직은 대부분 우주 기업들이 규모가 크지 않지만, 위성 제조, 서비스, 지상 장비 등 각 가치 사슬(벨류 체인)별 기업들이 모여 협력 방안을 논의하면 전체 생태계가 확장되면서 지역 내 창업과 기업 유치가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해양 우주 융합 분야 업체들이 공통으로 어려움을 겪는 인재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뉴 스페이스 퀵 스타트’ 프로그램을 내년부터 연간 10명 내외 규모로 운영한다.지산학 컨소시엄을 구성해 기업 수요에 기반한 R&D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사업 주관 기관이 구직자를 인턴으로 채용하여 2년 간 프로젝트를 수행하면 컨소시엄 참여 기업에 채용으로 연계 시키는 프로그램이다. 이 외에도 해양 우주 융합 분야 우수 인재들이 부산에 정착할 수 있도록 수도권에서 이전하는 첨단 기술 업체 종사자 인건비 지원과 역외 우수 인재 및 출향 유턴 인재 인건비와 주거 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 거버넌스 구축 및 네트워킹 강화 해양 우주 융합 신 산업은 글로벌 시장 진출이 목표이므로 국제 협력이 필수적이다. 이에 부산시 대표단은 한국천문연구원과 함께 올해 10월 미국 NASA 랭글리 연구 센터를 방문하여 부산샛-B 발사 및 위성 데이터 공동 활용을 위한 기술 협력 MOU 체결을 추진한다. 특히 오늘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해양·우주 분야 산업은 어느 한 도시의 노력 만으로는 육성하기 어렵다.”면서 인근 도시 및 해외 우주 선진 도시들과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했다. 국내에서는 부산시, 테크노 파크,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 지역 기업, 지역 대학, 연구 기관(KIOST, KMI 등)이 해양 우주 융합 신 산업 지산 학연 협의 체를 구성하여 신규 R&D 공동 기획, 기업 유치 및 성장 지원, 기술 개발, 산업 맞춤형 인재 양성에 협력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부산에서 열리는 제31차 국제 천문 연맹 총회(2022.8.2.~11.), 2024년 국제 우주 총회(2024.7.13.~21.) 등 우주 관련 대규모 행사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원하고, 민간 우주 산업 관련 주요 행사를 유치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부산이 우주 분야 전문가와 지식, 정보, 네트워크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형준 부산 시장은 “오늘 회의를 통해서 해양과 우주를 융합한 신 산업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최근 뉴 스페이스 흐름에 따라 해양 도시 부산에서 먼저 혁신의 파동을 일으켜 해양·우주 분야 기업들이 자리를 잡고 날개를 달아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