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당선인, '친인척·측근비리 감시' 특별감찰관 부활 예고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2-03-14 11:33:11

인사는 ‘원트랙’ 검증...김부겸 유임설엔 “검토된 바 없다”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문재인 정부 내내 공석이었던 청와대 특별감찰관을 정상 가동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4일 브리핑에서 "법과 원칙이 누구에게도 예외 없이 적용돼야 한다는 것은 당선인의 일관된 생각"이라며 "인수위에서 관련 논의를 진행하고 당선인에게 보고돼야 할 사안"이라고 밝혔다.


특히 윤 당선인 측 관계자는 "특별감찰관제는 선대본부 정책본부에서 핵심 공약 중 하나로 건의했던 내용"이라며 "여권이 특별감찰관을 두지 않는 것에 대해 국민의힘이 계속 비판해왔던 만큼 새 정부에서는 정상 가동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별감찰관제는 대통령의 배우자와 4촌 이내 친인척, 청와대 수석비서관 이상의 고위공무원 등에 대한 비리 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박근혜 정부 당시인 2014년 도입됐다.


이에 따라 2015년 3월 임명된 이석수 초대 특별감찰관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지만 감찰내용 외부 누설 의혹에 휘말리면서 이듬해 8월 사표 제출로 공석이 된 이후 문재인 정부에서는 특별감찰관을 임명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이번 대선 과정에서 윤 당선인 배우자 김건희 여사와 처가 관련 의혹이 제기되면서 국민의힘 내부와 윤 당선인 주변을 중심으로 특별감찰관제 정상 가동 요구가 비등해지고 있다.


특히 윤 당선인이 정권 고위층을 검증하고 대통령 친인척 문제를 관리하는 민정수석실 폐지까지 공언한 만큼 특별감찰관 필요성에 더욱 힘이 실리는 상황이다.


윤 당선인은 이와 함께 기존 영부인 호칭을 없애고, 대신 '대통령 배우자' 또는 '대통령 부인'으로 바꾸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일각에서 제기된 김부겸 국무총리 유임설에 선을 긋고 새로운 총리 지명 의지를 분명히 했다.


김은혜 대변인은 "김부겸 총리는 덕망 있고 저희가 존경하는 분이지만 총리 유임과 관련해서는 검토된 바 없다"고 일축했다.


김 대변인은 '몇 배수 안에도 들어가지 않느냐'란 질문에 "새 총리는 새 정부 출범 시기에 맞춰 함께 일할 수 있도록 인선 작업이 이뤄질 것"이라고 답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의 인사 방침에 대해서는 "추천은 여러 각도에서 받으나 검증은 검증팀이 하는 ‘원트랙’ 검증"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