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비문명적 관점으로 불법시위" '전장연'과 연일 대립각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2-03-29 12:06:32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 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를 상대로 한 날선 발언으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데 대해 당내에서조차 우려가 커지는 모양새다.
다운증후군 딸을 두고 있는 나경원 전 의원은 29일 "그들이 문대통령, 박원순 시장 시절과 달리 거친 방법의 주장을 하는 것도 사실이어서 시민 불편을 초래하는 위법한 시위활동도 당연히 비판받아 마땅하다"면서도 "지하철에 100퍼센트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시위한다는 것을 조롱하거나 떼법이라고 무조건 비난하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다"고 날을 세웠다.
나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전장연이 민주당에 가까운 정도가 아니라 민주당, 정의당 소속이라 할 정도의 성향을 가진 단체라는 것을 익히 알고 있다"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이어 그는 "장애를 가진 아이를 키우면서 수없이 좌절하고, 현실에 부딪히면서 느꼈던 것은 바로 법과 제도가 제대로 안되어 있으면 떼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라며 "전장연의 그때그때 달라요의 시위태도도 문제이지만 (이 대표의) 폄훼, 조롱도 성숙한 모습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종성 의원은 이날 오전 10시쯤 이 대표와 약 40분간 면담하며 이 대표가 이동권 시위를 비판하는 점에 대한 우려의 의견을 전달했다.
특히 김예지 의원은 전날 서울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에서 열린 제25차 출근길 시위에 참석해서는 “적절한 단어 사용이나 소통으로 마음을 나누지 못한 정치권을 대신해 사과드린다”며 연일 전장연의 출근길 시위를 비난하고 있는 이 대표를 대신해 고개를 숙였다.
김 의원은 같은 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저는 장애인 당사자인 국회의원이다. 다른 사람의 일이 아니고 제 일이기 때문”이라고 무릎을 꿇고 사과에 나선 이유를 설명했다.
김 의원은 특히 '이 대표를 만나 장애인 이동권 문제에 대해 설명할 필요가 있지 않냐’는 진행자 질문에 “그분이 내용을 몰라서 그러고 계신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무슨 사고가 나거나 불편함이 있는 것을 보도한 것을 보고 그때서야 관심을 갖는 정치권의 패턴을 국회에 들어오기 전부터 문제라고 생각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장애계의 권리 보장을 위한 목소리를 세심히 챙기지 못한 정치권의 사과도 있겠지만, 정치권이 제대로 책임지지 못해 시민들이 불편함을 겪는 데 대해서도 사과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주장했다.
실제 이 대표는 ‘장애인 혐오 조장’이란 당내 비판에도 불구하고 "최대 다수의 불행과 불편을 야기해야 본인들의 주장이 관철된다는 비문명적인 관점으로 불법 시위를 지속하고 있다”며 '불법에 대한 불관용’ 원칙을 강조했다.
이날 YTN라디오 인터뷰에 나선 이대표는 "장애인 단체의 지하철 탑승 시위를 말한 것이 아니라 출입문을 막아서 수십분간 지하철 운행을 지연시킨 방식을 지적한 것"이라며 기존의 주장을 이어갔다.
심지어 이날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하필 선거를 앞두고 왜 그러느냐”,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과 대립각을 세워 비판이 많다”고 지적한 데 대해서도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이 더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는 취지로 반발해 눈길을 끌었다.
이 대표는 “전장연은 조건을 걸지 말고 현재 이해할 수 없는 방식의 시위 중단하라”고 촉구하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최고위원회의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예지 의원의 '사과'와 관련해 “(김)의원은 개인 자격으로 간 것”이라며 “(나는)사과할 계획이 없다”고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면서 “전장연이라는 장애인 단체의 투쟁 방식이 강력한 거지, 5개 (다른 장애인) 법정단체보다 대표성이 약하다”며 “그곳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이라고 받아들이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29일 전장연을 찾을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인수위 사회복지문화분과 간사인 임이자 의원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브리핑에서 “전장연과 김도식 (인수)위원이 지금 소통 중”이라며 “내일 지하철역으로 가서 찾아뵙고 정중하게 말씀드리고 정책 관련 예산을 어떻게 반영해서 권리를 (어떻게) 찾아줄 건지에 대해서 경청하겠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