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특혜 의혹, 이번에는 '50억 클럽' 인물들 수사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1-11-28 12:15:23
박영수·곽상도 재소환 가능...배임 윗선 규명에도 관심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대장동 개발 로비·특혜 의혹과 관련해 민간업자들을 배임혐의 등으로 기소한 검찰이 '50억 클럽' 명단 속 당사자들을 상대로 수사의 초점을 맞춘 가운데 성남시나 시의회를 상대로 한 대장동 민간업자들의 로비 의혹, 이재명 후보를 겨냥한 배임 윗선 수사에 화력을 집중하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온다.
2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전담수사팀(팀장 김태훈 4차장검사)은 지난 26일 박영수 전 특별검사와 머니투데이 홍선근 회장을, 전날엔 곽상도 전 의원과 권순일 전 대법관을 소환했다.
이들은 모두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와 두터운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인물들이다.
박 전 특검은 2011년 대검 중앙수사부의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 때 대장동 민영개발업자에게 대출을 알선한 브로커 조우형씨의 변호인으로 활동했는데 당시 이들을 연결한 사람이 김만배씨다.
이후 화천대유에서 고문변호사로 이름을 올렸던 박 전 특검 딸도 화천대유 직원이었는데 올 6월 화천대유 분양 아파트 잔여분 1채를 시세의 절반 가격으로 분양받은데 이어 성과급 50억원 지급도 약속돼 있었다.
특히 대장동 아파트 분양대행을 맡았던 박 전 특검의 인척은 김씨 등 대장동 업자들과 복잡한 돈거래를 하기도 했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이 화천대유로부터 고문자리나 자녀취업 등을 대가성으로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머니투데이 홍 회장은 회사 직원이었던 김씨에게서 세 차례에 걸쳐 차용증을 쓰고 수십억원을 빌렸으나 검찰에서 문제없는 자금 거래인 점에 대해 소명을 마쳤다는 입장이다.
소환자 중 그나마 구체적 혐의를 받고 있는 건 곽상도 전 의원이다.
곽 전 의원은 화천대유와 하나은행이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게 도와준 대가로 아들을 화천대유에 취직시키고 올해 아들 퇴직금 명목으로 50억원을 받았고 하나은행이 경쟁 컨소시엄에서 '러브콜'을 받자 김씨가 곽 전 의원에게 부탁해 하나금융지주 측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관계자 진술도 나온 상태여서 검찰이 이를 토대로 곽 전 의원에게 특경가법상 알선수재 혐의를 적용해 최근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곽 전 의원은 그러나 자신이 컨소시엄 구성에 도움을 준 게 없고, 아들 퇴직금은 성과급과 위로금 명목으로 받은 것이며 그중 1원도 본인이 쓴 건 없다는 입장이다.
검찰은 대법관 재직 당시인 지난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대법 선고에서 무죄 의견을 내고 그 대가로 퇴임 후 화천대유에서 고문료 명목으로 50억 클럽에 이름을 올린 혐의를 받고 있는 권순일 전 대법관을 포함한 이들 4명에 대한 1차 조사를 토대로 추가 소환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이들 중 여러 곳에 이름이 등장하는 박 전 특검이나 비교적 혐의가 구체화한 곽 전 의원의 경우 추가 조사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씨 측에서 명확히 돈이 건너간 곽 전 의원의 경우 사안의 중대성 등을 고려해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권 전 대법관의 경우, 김씨의 대법원 출입기록 확보에 그친 검찰이 의혹의 핵심인 재판거래는 수사할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