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 화재 대비를 위한 안전 수칙
전남 여수소방서 여서119안전센터 김재혁
시민일보
siminilbo@siminilbo.co.kr | 2023-03-20 14:50:12
축사 화재 시 축사 대형화, 공장화 특성에 따라서 연소 확대가 잘 발생해 재산 피해가 크고 인명피해가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한번 화재가 나면 불이 잘 번지기 때문에 축사 화재 대비를 위해 안전 수칙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축사 화재를 살펴보면 노후 축사 화재의 주요 원인은 전기로 인한 화재입니다.
전기로 인한 화재가 78건(51.6%)으로 가장 높고, 부주의 44건(29.16%), 원인 미상 13건(8.6%), 기계적 7건(4.6%)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겨울철(12~2월) 기간 중 49건(32.4%)으로 가장 높고, 봄철(3~5월) 44건(29.1%), 여름철(6~8월) 40건(26.4%), 가을철 18건(11.9%) 순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축사의 특징은 동 간 거리가 가까워 한번 화재가 발생하면 금방 다른 동으로 번지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화재 예방이 중요합니다.
전기화재 예방을 위해 누전 경보차단기 또는 아크차단기로 교체해야 합니다.
전기용접 등 화기를 취급하는 작업을 할 때는 주변에 짚 등 가연물을 꼭 치우고 혹시나 모를 일을 대비해 항상 소화기를 배치하고 초기화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습니다.
축사를 배치할 때는 축사 동 간의 안전거리를 3m 이상 확보하고 축사건축물을 증축하거나 신축할 때는 그라스 올 패널 등 불연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보온재로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 패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화재에 대비해 소화용수를 확보하고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만반에 준비를 해야 합니다.
대부분 축사는 외진 곳에 있으므로 소방차가 쉽게 찾아올 수 있도록 입구 쪽에 안내판(표지판)을 설치하고 소방차 진입 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화재·구조·구급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119로 신고해 빠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축사 화재 대비를 위한 안전 수칙을 살펴봤습니다. 특히, 축사 화재는 화재 발생 시 피해가 크기 때문에 화재 예방에 최선을 다하고 안전 수칙을 숙지하고 철저히 대비해 갑작스러운 화재 발생 시 침착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