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김용 체포로 ‘이재명 사법리스크’ 현실화 되나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2-10-20 14:22:33

검찰, 대장동 특혜 의혹 ‘李 대선자금’ 수사로 전환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핵심 측근인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 체포와 당사 내 사무실 압수수색을 단행한 데 대해 야당이 "야당 탄압"이라고 강력 반발하고 있지만 이에 공감하지 않는 국민이 과반에 달하는 등 ‘이재명 사법리스크’가 민주당에 현실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한국갤럽이 중앙일보 의뢰를 받아 지난달 16~17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최종 100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 대표에 대한 수사가 야당 탄압이나 정치 보복이라는 주장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50.7%가 공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 ±3.1%p, 휴대전화 가상번호 100% 전화면접조사, 응답률은 13.8%.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검찰의 칼끝이 이재명 대표의 대선자금을 정조준 한 가운데 민주당은 20일 오전 국회에서 긴급의원총회를 열어 국정감사 참여 여부를 포함한 대응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지만 마땅한 해법을 찾지 못하는 모습이다.


앞서 검찰은 전날 유동규 전 기획본부장 등 대장동과 위례 개발 민간사업자들로부터 수억원의 불법자금을 수수한 혐의로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을 전격 체포했다.


'분당 리모델링 추진 연합회장' 출신으로 지난 대선 때 캠프 총괄부본부장을 지낸 김 부원장은 2010년 이재명 대표가 성남시장에 처음 당선됐던 해부터 성남시의원으로 함께 해왔다. 2018년 이 대표가 경기도지사로 당선된 후에는 인수위 대변인을 거쳐 경기도 대변인으로 발탁되는 등 이 대표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해 온 최측근이다.


김 부원장은 체포 이후 자금 수수의혹을 전면부인했지만 공식적으로 수사기관의 소환조사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법원이 체포영장과 압수수색 영장까지 전격 발부한 점을 보면, 상당한 증거가 확보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이에 따라 검찰의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 수사는 이재명 캠프의 대선자금 수사로 전환된 모양새다.


현재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김 부원장은 지난해 4월부터 8월까지 수차례에 걸쳐 대장동 민간업자인 남욱 변호사로부터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을 통해 총 8억원 상당의 불법 정치자금을 전달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영장에 문제의 돈이 남욱 변호사의 자택 주차장이나 유동규 본부장과 정민용 실장이 만든 회사 '유원홀딩스' 등에서 전달된 것으로 적시했고 돈의 성격이 '대선자금'이라고 특정했다. 검찰 수사의 칼끝이 사실상 이재명 대표를 향하고 있는 셈이다.


검찰이 결정적 근거나 진술을 확보하는 데에는 유동규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본부장이 입을 열었기 때문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유 전 본부장은 대장동 개발 특혜 의혹으로 지난해 10월 3일 구속된 뒤, 같은 달 21일 배임 등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지난 4월에 출소했어야 하는데 1심 구속기한 만료를 앞두고 압수수색 과정에서 자신의 휴대전화를 지인을 통해 감추려 하는 등 증거인멸 교사 혐의로 구속영장이 추가 발부돼 유 전 본부장은 6개월 더 수감생활을 이어왔으며, 20일 새벽 구속기한 만료로 출소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에선 검찰이 유동규 본부장을 회유한 것 아니냐며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고 있다.


검찰이 위례 신도시 혐의로 다시 영장을 재청구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으나 이번에는 영장 재청구를 하지 않아 유 전 본부장이 이날 새벽 구속기한 만료로 출소했는데 검찰이 유 전 본부장을 회유해 자백을 끌어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설훈 민주당 의원은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김용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지난 대선 경선때 대장동 세력에게서 8억원을 받은 혐의로 체포된 것과 관련, "(법원에서) 체포영장이 떨어진 건 구체적인 정황이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유동규가 입을 연 것이 회유됐기 때문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대해선 "검찰이 회유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너 앞으로 10년, 20년 산다', 이랬을 때 그 두려움을 안 느낄 사람이 있겠냐"라고 반문한 뒤, "(유동규가 받은 돈을 뇌물이 아닌) 정치자금으로 해 주는 대신에 거래를 했을 가능성도 우리가 짐작은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