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희 복지부장관 후보자 자진 사퇴
전용혁 기자
dra@siminilbo.co.kr | 2022-07-04 14:46:45
지난 5월26일 후보자로 지명된 지 39일만이다.
김 후보자는 이날 복지부를 통해 낸 입장문에서 "저는 오늘 자로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직을 사퇴한다"고 전했다.
김 후보자는 "객관적 사실에 근거해 각종 의혹이 사실이 아님을 반복적으로 설명해 드렸으나 이 과정에서 공직자로서 부끄럽지 않게 살아왔던 저의 명예는 물론 가족들까지 상처를 입는 것이 무척 힘들었다"고 털어놨다.
그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수사 의뢰된 것과 관련해서도 "고의적으로 사적인 용도로 유용한 바가 전혀 없으며, 회계 처리 과정에서 실무적인 착오로 인한 문제"라고 혐의를 부인했다.
그러면서도 "이러한 사실과 별개로 최종적으로 관리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지적에 대해 겸허하게 받아들이고자 한다"며 사퇴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다만, 현재와 같이 정치자금 사용의 기준과 관리가 모호한 체계에서는 정치자금과 관련한 논란은 지속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저와 같이 억울하고 불합리한 피해 사례가 반복되지 않도록 국회내 논의를 통해 정치자금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이뤄지기를 요청드린다"고 촉구했다.
이어 "그동안 저를 지지하고 성원해주신 윤석열 대통령과 저의 가족을 포함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린다"며 "저의 사퇴가 국민을 위한 국회의 정치가 복원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김 후보자에 대해 보건의료계 권위자로서 현장, 정부, 국회에서 쌓은 경험으로 보건복지 분야 국정과제 달성에 기여할 사람으로 평가하며 복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했다.
그러나 2019년 국회에서 '문재인 대통령 치매' 발언을 했던 것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모친과 관련한 부동산 편법 증여 의혹 등 가족과 관련한 의혹이 연달아 제기돼 자질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국회의원 당시 보좌진 격려금, 배우자 명의 자동차 보험료와 렌터카 임대료 등에 정치자금을 사적으로 사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김 후보자를 검찰에 수사 의뢰하면서 사퇴 압박 수위가 세졌다.
김 후보자 사퇴로 복지부는 장관 후보자가 연달아 낙마하는 초유의 사태를 맞이했다.
앞서 정호영 전 장관 후보자도 자녀 특혜 등 각종 논란에 밀려 지난 5월23일 자진해서 사퇴했다.
한편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김승희 후보자의 자진 사퇴 직후 박순애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과 김승겸 합동참모본부 의장 임명을 재가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