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혁신위 ‘대의원제 폐지’ 혁신안 발표 10일로 연기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3-08-08 15:10:49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대의원제 폐지 방안을 담은 혁신안을 10일 발표할 예정이지만, 김은경 혁신위원장를 둘러싼 각종 구설로 추진 동력을 잃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비명계 인사들의 반발이 이어지자 혁신위가 한 발 물러서는 모습이어서 주목된다.
실제 친명계 좌장인 정성호 의원은 8일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표가 권리당원보다 비율이 높기 때문에 조정은 필요하다”고 수긍하는 모습을 보였다.
혁신위 관계자도 이날 “대의원이 당대표 선거 등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의 60배에 달하는 표 가치를 부여한 혁신안에 대해 형평성 이 지적되고 있다"며 “전당대회에서 권리당원과 대의원의 표 가치를 ‘1 대 1’로 조율하는 안을 포함해 대의원 권한을 축소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대의원제 폐지 및 축소는 이재명 대표 원내 등판 이후 강성 지지층인 ‘개딸’ 등이 요구해 온 사안이라는 점에서 당내 갈등이 예고돼 있었다는 지적이다.
대의원은 전국 당원을 대신해 당의 정책 결정, 지도부 선출 등에 참석하는 대리자로, 당 소속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 각 시도당 위원장 등으로 구성된다. 현재 민주당엔 1만6000명의 대의원이 있으며, 이는 114만 권리당원의 약 14%에 해당한다. 친명(친이재명)계에서 지적하는 부분은 대의원 표 가치의 형평성 문제다. 현행 당헌·당규에 따르면 당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 투표 반영 비율은 권리당원 40%, 대의원 30%, 여론조사 25%, 일반당원 5%라, 대의원 1명 표가 권리당원 50∼60명 표 가치에 달한다.
비명계 윤영찬 의원은 “더 이상 혁신위에서 혁신안을 내놓는다고 해도 그 도덕적인 권위가 인정되지 않을 것”이라고 반발했고 박광온 원내대표도 지난 6일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대의원제 폐지는 대의민주주의 기본 원리에 반하는 일”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이원욱 의원도 "혁신위는 온갖 설화에도 불구하고 몇 번 순회 간담회 후 대의원제 폐지 등 혁신안을 내놓는다고 한다"며 "지난 세 번의 선거에서 대의원이 선거 패배의 주요 원인이었다면 당연히 혁신 대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핵심이 아니라는 건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비명계는 혁신위가 공천룰을 다루겠다고 예고한 것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혁신위는 최근 기자간담회나 라디오 인터뷰 등에서 “내년 총선 공천룰을 다루지 않을 수 없다”고 공언해왔다.
이를 두고 호남지역 한 비명계 의원은 “대의원제 수정은 전당대회에만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것까진 참을 수 있지만, 공천룰까지 건들면 가만히 있지 않겠다”며 “주변에도 공천 규정 관련 혁신안을 벼르는 의원이 많다”고 전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