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밀착 인재 양성 '직업계고' 100곳 육성
교육부, 중등 직업교육 방안 발표
소수정예 '협약형 특성화고' 도입
이대우 기자
nice@siminilbo.co.kr | 2023-08-24 15:10:48
[시민일보 = 이대우 기자] 정부가 지역·산업계 현장이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할 직업계고 100곳을 오는 2027년까지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중등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24일 발표했다.
우선 교육부는 지방자치단체, 기업, 특성화고 등이 연계해 소수 정예로 실버 사업, 전통주·전통가옥 사업, 용접, 건축(타일·미장 등) 등 지역 특화 인재를 양성하는 ‘협약형 특성화고’를 도입해 2027년까지 35개교를 육성하기로 했다.
지자체와 교육청, 지역 산업계, 특성화고가 함께 지역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면 협약형 특성화고가 지역 수요에 맞춰 자율 교육 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내년부터 협약형 특성화고 선발을 시작해 선정된 협약형 특성화고 1개교당 3년간 20억∼30억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교육부는 “직업교육의 선도 모델인 마이스터고를 지난해 기준 54개교에서 2027년까지 10개교 이상 추가 지정하고, 새롭게 지정되는 마이스터고는 첨단 분야 중심으로 추가 지정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기존 마이스터고에 대해 교육부는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고도화하고 맞춤 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재정 지원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마이스터고 질 관리를 위해 5년 주기 운영 성과 평가도 강화한다.
교육부는 직업계고 학생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정규 수업·방과 후 학교를 통한 수준별 디지털 이해 교육을 강화한다.
기초 학력이 떨어지는 직업계고 학생들을 위해 AI 기반으로 맞춤형 기초학력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마이스터고 출신 졸업생이 산학겸임교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자격 기준도 ‘학력’이 아닌 ‘경력’을 기준으로 완화한다.
직업계고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취·창업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교 기업 운영이나 학교 내 기업 유치도 2027년 100개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또 직업계고 졸업생 중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브릿지 학년' 제도를 도입해 일자리·채용 정보 제공, 면접 기법 교육 등 교육 훈련을 제공한다.
이외에도 직업계고 학생들이 다양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비용 지원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일각에서는 정부지원을 받는 협약형 특성화고가 육성되면 직업계고 내에서 서열화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이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선도 모델이 생기기 때문에 전체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이 업그레이드되는 긍정적인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우려에 선을 그었다.
최창익 교육부 평생직업교육정책관은 “현장실습생들이 매일 쓰는 실습일지에서 ‘힘들다’, ‘어렵다’ 등 부정어를 감지하는 AI 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담당 교사가 맨투맨으로 현장 실습생을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