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 사고 당협 68곳 물갈이 예고...당무감사도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2022-10-17 15:58:53
[시민일보 = 이영란 기자] 국민의힘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이 국정감사 이후 당원협의회(당협)의 당협위원장 공모 및 전국 단위 당무감사를 예고하고 나서 당내 갈등이 예상된다.
김행 비대위 대변인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현재 70곳에 가까운 당협 위원장이 공석"이라며 "당헌 상 매년 해야 하는 당무감사도 총선 이후 실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당의 정상화와 안정화를 위해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될 작업"이라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오는 19일 윤석열 대통령이 원외 당협위원장들과 오찬 겸 상견례 일정을 갖는 것도  정진석 비대위의 당협 정비 작업에 힘을 실어주려는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특히 정 위원장이 대대적인 당 조직 정비에 나서는 배경을 두고  차기 당권에 대한 친윤계 주류의 불안함이 깔려있다는 지적이다. 친윤계 당대표 리더십을 중심으로 2024년 총선을 승리로 이끌어 윤석열 정부의 국정 동력을 확보해야 하는 여권 주류로선, 윤 대통령을 향해 가장 날을 세우고 있는 유승민 전 의원이 당 대표 지지율 여론조사 1위로 독주하고 있는 상황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당내에서는 역선택 방지 조항 신설, 결선투표제 도입, 경선에서 당원 투표비율 상향 등 전대 룰을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갈수록 힘을 얻는 분위기다.
 
특히 조강특위와 당무감사 카드 역시 유 전 의원 견제용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전국 당협 253곳 중 지방선거 출마 등의 이유로 6개월 이상 위원장이 공석인 ‘사고 당협’은 67곳에 달한다. 이는 전국 당협 253곳 중 약 26.8%에 달한다. 여기에 이준석 당 대표 시절 내정된 16곳의 당협위원장도 교체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실제 이 전 대표의 광주행과 우크라이나 방문, 성상납 의혹 등 당내 사정으로 이들에 대한 임명건은 최종 관문인 최고위에 상정되지 못했다. 주호영 비대위 출범 이후에도 이 전 대표의 가처분 등으로 기회를 얻지 못했다.
정 위원장이 국감 직후부터 당협위원장 선출을 위한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를 가동한다는 방침을 밝히면서 이르면 내년 1월 전후로 새 위원장 인선이 가능할  전망이다. 여기에 이르면 내달부터 가동될 당무감사 결과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사고 당협을 채우고 당무 감사를 통한 인적 교체마저 이뤄지면 전체 '물갈이' 규모는 100여 곳 안팎에 이를거란 전망도 나온다.
 
지역 당원조직을 관리하는 당협위원장이 누가 되느냐는 내년 초로 예상되는 전당대회는 물론, 2024년 4월 총선 공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요소다.
이에 대해 다른 당권 주자들도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윤상현 의원은 "현 비대위는 국정 뒷받침과 전당대회 준비에만 집중하고, 조직 전반에 대해서는 새 지도부에 맡기는 것이 상식"이라고 반발했고 김기현 의원 측도 "당협위원장 인선과 교체는 새로 선출될 당대표가 해야 할 일"이라며 불편한 기색을 감추지 않았다.
 
한편 당협위원장 인선과 당무감사가 비대위 뜻대로 진행되더라도 '60일 전 당협위원장에 통고'하도록 돼 있는 조항으로 인해 전당대회 시점 또한 내년 3월 이후로 늦춰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온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