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동구 싱크홀' 사전예측 가능했다"
최명기 교수 "전조증상 보여"
"서울시에 '위험' 보고 했었다"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5-03-26 16:20:12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최근 서울 강동구에서 대형 땅꺼짐 현상(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사상자가 발생한 가운데 이를 사전에 예측, 대응하지 못한 해당 지자체 등의 안일함을 지적하는 전문가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26일 오전 CBS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모든 사고에는 사전 징후라든지 전조 증상이 있는데 서울시 등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했지만 공사하는 과정에서 (이 정도 사고는)예측이 다 가능했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대부분 싱크홀이나 지반침하는 먼저 균열이 발생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약간 침하가 된다”며 “특히 보도 틈과 틈이 벌어지게 되는데 이건 약간 움직인다는 얘기고, (이번에도)인근 주요소의 경우 바닥이 좀 갈라졌고 하수구, 배수구 자체도 함몰이 됐었다는데 이건 다 전조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싱크홀은 주기적으로 관찰해줘야 하는데 만약 2024년 1월, 또는 6월, 12월 등 이런 식으로 주기적으로 관찰을 하게 되면 이런 움직임들은 확인이 가능하다”며 “또 공사 관계자도 한달 전에 터널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좀 위험하다’는 얘기를 문서를 통해 보고를 했었는데 서울시쪽에서는 문제가 없다는 얘기를 했었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런데 여기는 터널 공사 현장이고 10m 이상에서 굴착을 했기 때문에 지하안전법에 따라 지하안전평가라는 걸 받게 돼 있다”며 “서울시는 원래 5년에 한 번씩 GPR 탐사를 통해 이런 동공 현상이 있는지를 확인하게 돼 있었는데 아마 서울시 말로는 실제 사고 발생되기 일주일 전 했다고 하지만 문제는 GPR 탐사가 깊이의 한계도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