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토청 2022년 영남권 교통안전 종합대책 발표
최성일 기자
look7780@siminilbo.co.kr | 2022-01-28 09:29:08
[부산=최성일 기자]
◈ 지속가능한 교통 구조·기능 개선
◈ 스마트도로 네트워크 구축
◈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도로공간 조성
◈ 교통문화 확산 및 유관기관 협업 강화
◈ 테마별·주제별 점검과 안전체계 통합
부산지방국토관리청(청장 손우준)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고, 교통안전 선진국 도약을 위해 「2022년 영남권 교통안전 종합대책」을 수립·발표하였다.
‘22년까지 영남권 교통사고 사망자 500명대 감축을 목표로 하여, 주요 교통안전 취약부분에 대한 맞춤형 안전 대책을 수립하고,
- 자율자동차, 스마트 도로 구현 등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도 보행자 이동권 강화 및 교통약자 배려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 반영하였다.
최근 4년간(‘17→’21.11), 교통안전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영남권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 (‘17) 1,138(기준) → (’18) 1,064 → (‘19) 930 → (‘20) 897 → (’21.11) 752
교통사고 사망자는 ’17년 1,138명에서 경찰청에서 집계된 ‘21년 11월 기준 자료에 따르면 752명으로 34%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영남권은 수도권과 대비할 경우 차량은 59.6%가 적으나 교통사고 사망자는 수도권과 거의 동일수준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 자동차(‘21) 수도권11,015천대, 영남권6,567천대, 사망자(’20) 수도권 916명, 영남권 897명
이에, 부산청은 보행자 최우선 교통체계 구축, 안전 우선 문화 확산 및 화물차·이륜차 집중 단속 등 교통안전 체계를 선제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영남권 교통안전 종합대책」을 수립하였다.
「영남권 교통안전 종합 대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지속가능한 교통 구조·기능 개선
급커브, 급경사 등 도로구조 불량구간에 대하여 구조개선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횡도보도 구간 내 보행자 및 운전자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 조명시설을 교체하거나 신설할 계획이다.
* 위험도로개선 사업 : 신규 5개소, 계속 31개소, 조명설치 : 150개소
② 스마트도로 네트워크 구축
‘24년까지 일반국도 100% ITS 구축을 목표로 교통정체 개선, 사고방지, 보행자 안전을 위한 주요 관리구간에 ITS를 지속 확대하고,
우리청 주관으로 지자체와 비용을 분담(국비8 : 지방비2)하여 지자체 75개 교차로에 전기감응신호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 (설치 장소) 양산시 29개소, 거창군 25개소, 고성군 21개소
③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도로공간 조성
국도변 마을, 학교 등 보행자 통행이 많으나, 보도가 설치되지 않아 보행자의 안전이 우려되는 구간에 인도(L=4.8km)를 설치하고,
아울러, 마을주민 보호구간을 확충(4개소)하고, 대상구간에 대한 모니터링 및 기 설치구간(63개소)에 대한 특별실태조사도 시행한다.
④ 안전문화 확산 및 유관기관 협업체계 강화
ㅇ 교통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보행자 안전(보행자 First)을 핵심 메시지로 하여 “사람이 보이면 일단 멈춤”, “안전속도 5030” 등의 문구를 우리청이 보유한 도로전광표지(265개) 활용하여 전방위로 홍보하고,
- 영남권 교통안전협의회(16개 기관)를 통해 사망사고 감소를 위한 실행 가능한 과제를 발굴하고, 분기별로 합동 캠페인 참여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⑤ 테마별·주제별 점검과 안전체계 통합
설연휴, 행락철, 휴가철 등 테마별 교통특별대책을 수립하고, 계절별로 도로정비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간다.
- 또한, 부산국토청 관내 터널 332개소를 25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제연설비 및 VMS 등 방재시설을 부산청으로 통합·일원화하는 터널통합관리센터도 구축한다.
사고치사율이 높은 화물차를 중점관리하기 위해 상반기내에 도로안전 기동단속반을 부산국토청 내에 신설·운영하고, 화물차에 대한 거점별 상시단속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이윤우 도로관리국장은 “교통안전 정책의 실효성은 국민의 공감과 참여가 필수적이므로, 우리청은 ‘22년 1월부터 교통안전팀을 별도 신설한 만큼 국민이 공감·참여 할 수 있는 다양한 교통안전정책을 발굴하겠다”라고 밝혔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