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의 동물 사랑··· 애견 문화 확산 선도
여영준 기자
yyj@siminilbo.co.kr | 2023-09-20 21:16:33
[시민일보 = 여영준 기자] 삼성 안내견사업이 30주년을 맞으며 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의 '동물 사랑'도 재조명되고 있다.
이건희 선대회장의 '동물 사랑'은 삼성의 ▲진돗개 순종 보존 ▲시각장애인 안내견학교 ▲애견문화 전파 등으로 이어졌다.
삼성에 따르면 이 선대회장은 무엇보다 개를 좋아하기도 했지만, ▲한국의 국가 이미지 개선 ▲현대인의 정서 순화 ▲생명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 확산 ▲애견 문화 저변 확대를 통한 관련 산업 창출 등을 위해 애견 사업을 시작했다.
이 선대회장은 세계적으로 내로라 하는 여러 종류의 개를 키워 보면서 진돗개를 세계 무대에 내놓아도 전혀 손색이 없다고 생각했다.
특히, 개의 중요한 특성인 희생과 충성에 있어 진돗개를 따를 만한 품종도 드물었다.
그러나, 진돗개는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됐음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순종이 없다는 이유로 우수성이 세계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고 원산지가 한국이라는 것도 인정받지 못했다.
이에, 이 선대회장은 순종 진돗개 보존에 직접 뛰어들었다.
이 선대회장은 1960년대 말경 진도를 찾아 거의 멸종 단계였던 진돗개 30마리를 구입했다. 10여 년 노력 끝에 순종 한 쌍을 만들어냈고, 진돗개 300마리를 키우며 순종률을 80%까지 올려놓았다는 게 삼성의 설명이다.
이 선대회장은 진돗개 품종 보종에 그치지 않고 진돗개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활동에 직접 나서기도 했다.
이 선대회장은 1979년 일본에서 열린 '세계견종종합전시대회'에 진돗개 암수 한 쌍을 직접 가져가서 선보였고, 이를 계기로 진돗개는 1982년 '세계견종협회'에 원산지를 등록할 수 있었다.
2005년에는 세계 최고 권위의 애견 협회인 영국 견종협회 켄넬클럽에 진돗개를 정식 품종으로 등록하는데 성공했다.
이 선대회장의 뜻에 따라 삼성은 1993년 국내 최초의 체계적인 안내견 양성기관인 '삼성안내견학교'를 설립했다.
이후 삼성은 ▲인명구조견(1995년) ▲청각 도우미견(2002년) ▲흰개미 탐지견(2003년) 등 개를 통한 CSR 활동을 확대해 갔다. 현재는 시각장애인 안내견 사업 위주로 진행 중이다.
이 선대회장은 세계 속에 한국의 애견문화를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서기도 했다.
1993년부터는 영국 왕실이 후원하는 권위 있는 세계적인 애견대회인 크러프츠 도그쇼를 후원했고, 2013년 대회에는 진돗개 '체스니'(Chesney)가 최초로 출전해 입상을 하는 쾌거를 거뒀다.
삼성은 2008년에는 일본에 청각 도우미견 육성센터를 설립했고, 이 선대회장은 일본 명문 야구단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최고 선수로 꼽히는 나가시마 시게오 선수에게 진돗개 암수 한 쌍을 선물로 주기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삼성은 에버랜드 테마파크 안에서 진돗개의 장애물 경주 모습을 선보이며 국내 애견 문화 저변 확대에 나서기도 했다.
아울러 삼성은 시각장애인들의 자립을 위한 토대 마련을 돕기 위해 안내견 양성과 함께 안내견에 대한 차별을 없애기 위한 노력도 병행했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