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노조간 ‘세불리기’하나
제3의 노조 ‘정책연합’ 내달초에 출범
시민일보
| 2003-03-17 16:02:32
중앙부처 및 광역 시·도 공무원직장협의회(공직협)를 주축으로 하는 제3의 공무원노조가 이르면 다음달 초 출범할 예정이어서 공무원 노조간의 ‘세불리기’가 치열할 전망이다.
새롭게 출범하는 공무원노조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 공무원직장협의회 정책연합’(정책연합)으로 기존의 ‘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대한민국공무원노조총연맹’(공노련)과 함께 공직사회의 새로운 ‘파워그룹’을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정책연합은 현재 행정자치·외교통상·통일·교육·산업자원·정보통신·보건복지·문화관광부,보훈처·관세청 등 10개 중앙부처와 서울·대전·충북·제주도 등 4개 공직협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지난 12일 행자부 공직협 사무실에서 정책연합 창립을 위한 실무기획단 회의를 가졌다.
정책연합은 정부산하기관인 공기업과 공사 등의 노조를 끌어들여 명실상부한 ‘공공노조’로 전환한다는 전략이다.
박 간사는 또 “장기적으로는 독일 공무원연맹(DBB)을 모델로 삼아 공무원을 포함한 공기업과 공사 등을 모두 포함한 ‘공공노조’로 전환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공무원노조가 허용도 되기 전에 새로운 노조가 또 만들어지면서 ‘공무원노조 공화국’이라는 여론의 곱지 않은 시선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서울시 한 구청 공무원 김모(32·7급)씨는 “공무원노조가 허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조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것은 국민들에게 ‘잿밥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비쳐질 수 있다.”면서 “노조간의 성격도 비슷한 만큼 최대조직인 전공노를 중심으로 3개 노조가 통합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정익 기자ik11@siminnews.net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