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인되는 서민 주머니
김 균 식
시민일보
| 2003-03-26 19:16:54
{ILINK:1} 시대의 흐름이 가져온 물질의 풍요는 인간의 편리를 위해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한다.
그대표적인 예로 현대문명의 총아라 할 수 있는 자동차를 내세울 수 있으며 흙을 밟고 땅위를 걸어 다니던 정서야 잊었지만 편리함을 누리는 대신 따르는 부담 또한 누림 이상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안산시에서는 주·정차위반 단속에 대한 견인업무를 민간에 위탁운영 할 것을 공표했다.
상록구와 단원구로 양분되는 이업무는 그동안 단순히 주정차 스티커만 발부하던 것과는 달리 견인차로 이동해 특정장소에 보관한다는 것이다.
주차위반으로 인한 폐단이야 도로의 효율성 저하 등 나열할 수 없이 많지만 20만대의 차량에 턱없이 못미치는 자동차는 주차에 대해 별다른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당초 4월 1일부터 시행키로 했던 이번 방침은 홍보부족을 인해 한달 가량 연기하는 등 시행초기부터 번복이 따랐지만 이에 다른 민간위탁업체는 구청별로 10여대의 견인차로 사업수익성을 위해 만전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
문제는 구청에서 주정차스티커가 발부된 차량만 견인할 수 있으므로 단속요원과 견인업무사업자는 불가분 공생관계가 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단속요원이 떠주는 밥만 먹어야하는 견인사업자가 허기를 느낄 때를 감안해야 할 것이다 반면 과잉단속 또한 민원의대상이 되겠지만 이 아이러니한 협력(?)관계에 시민들은 눈치만 봐야 할 상황인 것이다.
가뜩이나 시중에 돈가뭄이 심하다는 언론보도가 유포되는 가운데 이같은 시책은 서민들에게 또 한번의 한숨을 쉬게 하는 동기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계산상 5000여대의 차량이 갈곳 이 없는 안산은 이번 시책으로 매일 수억원의 과태료를 위해 주머니를 열어놓아야 하는 입장인 것이다.
주차위반, 분명 상당수는 서민의 몫이다.
건물지하주차장이나 유료주차장은 물론이거니와 개인주택까지 세입자나 서민차량들 만이 적당히 갈 곳이 없는 실정이다.
한차원 높인 단속과 이를 피하려는 숨바꼭질은 오늘도 안산시민들의 제자리 찾기 방정식이 되고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나름대로 애쓰는 안산시행정과와 제각기 사고가 다른 시민의식은 진행방향이 동행관계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