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난 해결위해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강선화(정치행정부)
시민일보
| 2007-04-10 16:41:39
{ILINK:1}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서울시내 자동차 등록 수는 총 285만6857대로, 연간 4만8086, 1일 평균 131대 증가했고 이 수치는 전년도에 비해 1.7%가 증가한 것이다.
최근 10년간 자동차 등록 추세를 보더라도 지난 1998년 외환위기 때 잠시나마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증가해오고 있다.
서울시 각 자치별로 등록대수를 보면 강남구가 23만7278대(8.3%)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송파구 6.6%, 서초구 5.8%, 강서구 5.7% 등의 순이다. 자동차 수가 가장 적은 지역은 5만926대(1.8%)가 등록된 중구다.
인구대비 승용차 보급률의 경우 강남구가 가구당 0.92대, 인구 2.75명 당 1대로 가장 높았으며, 강북구가 가구당 0.40대, 인구 6.48명당 1대로 가장 낮았다.
자동차 수 증가로 인해 자치구마다 주차난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고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하는 등 주차난이 불러오는 문제는 아주 심각한 상황이다.
교통난으로 인한 민원은 끊이질 않고 있으며, 이웃주민과 주차문제로 심하게 다투다는 등 싸움까지 일어나고 있다.
교통난 해결을 위해 자치구마다 주차공간이 부족한 곳과 정체지역을 정확히 파악하고 서울시와 머리를 맞대고 자동차 요일제와 불법주정차 단속, 그린파킹 등 다양한 정책들을 계속해서 내 놓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요일제 같은 제도의 경우 제도를 시행하는 서울시는 참여주민 수를 늘이기 위해 많은 잡음을 일으키며 주민 수 증가에만 혈안이고, 주민들 또한 요일제에 적극참여하기 보다는 편법을 동원하는 등 실질적인 참여율이 높지는 않은 실정이다.
주택가 주차난 해소를 위해 시행중인 그린 파킹제도 또한 그 효과는 극히 미비한 수준이다.
이러한 원인은 제대로 검증되지 않은 보여주기식의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서울시와 자치구에도 문제가 있지만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부족한 것 또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서울시와 자치구는 현실적이면서도 효과적인 제도를 시행해야 할 것이며, 이에 앞서 주민들 또한 주차난 해소를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