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공무원 내년 4242명 신규채용
행안부-지자체 합의
시민일보
| 2008-12-04 18:25:41
임용대기자 6400명 실무교육 실시도
정부는 내년도 지방공무원 4242명을 신규채용하고, 6400명에 달하는 임용대기자에 대해 실무교육을 우선 실시하도록 지자체에 권고했다.
행정안전부는 최근 일자리 감소로 인한 청년실업을 해소하기 위해 2009년 지방공무원의 신규채용 규모를 4200여명으로 유지하도록 지자체와 협의했다고 4일 밝혔다.
각 자치단체는 청년 실업해소를 위해 7급 145명, 9급 4010명, 연구·지도사 87명 등 총 4242명을 신규 공개채용하기로 했다. 당초 내년도 지방공무원 신규채용 규모는 지방공무원 정년연장과 조직개편 등으로 1500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었다.
각 지자체별로는 서울이 903명으로 가장 많고, 경기(685명), 인천(383명), 전남(309명), 부산(236명), 경북(214명), 전북(206명) 등의 순이다.
내년도 채용규모는 지난 10년간 평균 채용 인원인 6400여명의 70% 수준으로 외환위기 당시 채용인원(1998~2001년 평균 1750명) 보다는 크게 증가한 것이라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행안부는 또 올해 말 기준으로 공채시험에 합격하고도 임용을 기다리고 있는 6400명의 임용대기자를 해소하기 위해 임용 후에 실시하던 실무수습과 사전교육을 임용 전에 실시하도록 각 지자체에 권고했다.
실무수습과 교육을 받는 임용대기자에게는 임용예정 직급의 1호봉에 해당하는 보수(9급 1호봉 월 82만100원, 7급 1호봉 월 105만2700원)를 지급하고, 정식 임용 후에는 실무수습과 교육기간을 경력으로 인정받게 된다.
이와 함께 행안부는 임용대기 기간이 길어지지 않도록 현행 2년에서 1년6개월로 단축하고, 실무수습 비용을 자치단체 총액인건비에 반영해 지방자치단체가 실무수습을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민간부문의 신규채용이 위축돼 청년 구직자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으로 보여 공공부문에서 고용창출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이라며 “내년도 공채시험을 상반기 중에 실시해 정책효과가 빨리 나타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임용대기자 해소조치에 대해서는 “이번 조치를 통해 인력운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민장홍 기자mj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