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법안 놓고 親李 갈등빚나
이재오계 ‘속도전’ vs 이상득계 ‘2월처리론’ 주장
시민일보
| 2009-01-05 20:05:39
이른바 ‘MB 쟁점 법안’ 처리를 둘러싸고 한나라당이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청와대의 속도전 주문과 박근혜 전 대표의 대화 요구에 이어 이상득 전 부의장이 ‘2월처리론’을 들고 나옴에 따라 당내에 미묘한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5일 이른바 ‘mb 법안’에 대해 “국민에게 고통과 실망을 안겨준다”고 지적하면서 “다수당인 한나라당이 한걸음 더 나가야 되고 국민 앞에 큰 그림을 보여주는 것이 옳다”며 대화와 타협을 강조하자, 친이 진영 일부도 마지못해 따라가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특히 대야(對野) 강경파의 ‘정점’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이명박 대통령의 맏형 이상득 의원이 그동안의 입장을 바꿨다.
이와 관련, 이상득 의원은 이날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핵심 2제’인 한미FTA 비준안과 미디어 법안 처리의 ‘2월 처리’ 방안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청와대는 안정적 국정 운영을 위해 법안들의 조속한 통과가 절실하다는 기존 입장을 되풀이하고 있다.
박형준 홍보기획관은 같은 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정을 위기 총력대응체제로 갖추려면 무엇보다 필요한 게 법안들을 제때 통과시키는 것”이라고 거듭 ‘속도전’을 주문했다.
이어 그는 “국회 상황에 대해서 청와대는 그야말로 지켜보고 있을 뿐”이라며 “압력을 넣는다고 해서 그대로 관철되는 것도 아니다”라고 답답함을 토로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를 중심으로 하는 친이파와 이상득 의원을 정점으로 하는 또 다른 친이파가 갈등을 빚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한다.
일단 대세는 청와대를 중심으로 하는 친이파 쪽이다.
실제 당내 친이계 의원들은 이날 오전 긴급 회동을 갖고, 법안들의 ‘회기내 처리’를 압박한다는 방침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한나라당 강용석 의원(마포을)은 “속도를 내고 싶어도 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현실적으로 가능한 입장 찾는 게 현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85개 법안을 한꺼번에 처리한다는 발상은 그럴 듯하지만 현안을 분류해서 합리적으로 처리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정 안되면 민주당 요구를 수용하는 선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이미 1월5일인데 특별히 8일까지 처리하는 거 어려워 보인다”고 ‘속도전’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그는 “당초 12월 31일까지 연내 처리 할 수 있을 거라고 봤을 때야 강경 입장이었지만 지금 상황은 안 되는 상황으로 가고 있다. 안 되는 걸 되게 하자고 할 의원들 몇 명 될까?”고 반문하면서 “이상득 의원 발언은 개인적 소신이라기보다 당내 여론을 반영한 거라고 본다”고 이상득 의원의 ‘2월처리론’에 무게를 실었다.
그러나 정태근 의원은 “지난번 3당 원내대표가 합의했던 ‘7개항 가합의안’대로 처리하는 게 맞다고 본다”며 “(이상득 2월 처리론은) 무슨 입장에서 그렇게 말씀하셨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특히 김용태 의원은 “우선은 8일까지 최선을 다해 봐야하지 않겠나. 민주당 불법점거 상황을 정리하고 난 후 협상 해야지 지금 상황에서 뭘 할 수 있겠나”라면서 “우리 당이 어떤 방향으로 가는지 모르겠다. 지도부도 지도부지만 예상도 못하고 여기까지 밀려왔나하는 우리 당에 대한 자괴감 크다. 지지해줬던 분들한테 면목 없다”면서 사실상 속도전을 전개하지 못한 것에 대해 비판했다.
이와는 별도로 강명순 의원은 “그 시기를 한나라당이 정할 수 없다. 한나라당이 정해서 어쩌겠다는 건가” 반문하면서 “민주당이 우리가 법안 만들 때 빨리 검토하고, 토의하고 자꾸 만나서 얘기하는 등 문제점 찾는 과정을 통해서 법안을 만들어야 하는데 초창부터 민주당에서 안 된다고 단정 짓고 점거 농성에 들어가는 것이 안타깝다”고 민주당 책임론을 제기했다.
이어 그는 “밤새도록 토의과정 거치는 게 국회의원 할 일이지 농성과 타협 협상하는 게 국회의원의 할 일은 아니다”며 “모두 사표 내고 나가야 한다. 민주당이고 한나라당이고…”라고 덧붙였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