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쌍용차 대책 마련 부심

송명호 평택시장, “평택 지역경제에 빨간등”

시민일보

| 2009-01-14 15:23:38

“평택 지역사회경제는 비상 빨간등이 켜졌다. 쌍용자동차의 법정관리신청이 강한 악재로 이것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

송명호 평택시장은 14일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쌍용자동차 문제는 다른 문제들하고 연결이 될 때 서민경제 전체가 흔들리기 때문에, 법정관리신청을 한 그날부터 대책수립에 들어가 민생안정대책본부를 만들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현재 평택은 쌍용자동차 공장이 있고 협력업체들이 대부분 모여 있어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이 예상되고 있다. 또 그동안 추진 예정이던 미군기지 이전 문제가 2016년경으로 연기되고 고덕신도시 보상도 지연 되는 등 여러 가지 악재가 맞물리고 있는 실정이다.

송명호 시장은 “전체인원으로 보자면 평택공장에 쌍용차 인원이 5천700명 정도, 협력업체 종사자 수가 4~5천명 정도로 합치면 1만명 정도로 추산된다”면서 “4인 가족으로 볼 때 평택인구 41만의 10%에 달하는 4만 정도가 해당한다. 지역사회 경제에 기여했던 것들을 총액적으로 본다면 1년에 840억 정도가 기여 됐다”고 밝혔다.

송 시장은 “이는 지역사회에서는 커다란 볼륨이다”라며, “저희가 직접 운영자금을 지원하는 건 어려운 상태지만 신용보증기금을 통해 1개 업체당 2억의 대출 범위를, 경기도와 비상회의를 거쳐 5억까지로 확대하기로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대출의) 이자 차액을 우리가 보전해주고자 이자차액만을 보전하는 기금으로 약 50억 정도를 조성하려고 한다”면서 “평택시 주거래은행인 농협과 함께 금융에 일종의 협약을 가져가기 위한 과정을 밟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송 시장은 평택시 재정 문제와 관련, “쌍용으로부터 평택시에 들어오는 재정은 약 5~60억 규모 정동 불과하다”면서도 “지역사회 경제에 미치는 충격으로서 소매업과 소상공인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면 도미노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며 대책이 발 빠르게 추진돼야함을 강조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