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동마을’ 사건후 미술품 로비 다시 수면위로
미술평론가 홍경한 편집장“고가는 소장·구입자 익명 관례”
시민일보
| 2009-01-15 19:19:21
최근 미술품 관련 로비가 다시금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그림이 편법 상속이나 증여를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예상된다.
미술평론가 홍경한 퍼블릭아트 편집장은 15일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전화인터뷰를 통해 “최상류층이 어떤 식으로든 재산을 편법으로 증식할 때 많이 쓰이는 것으로 미술품이 유명해졌고 현재까지 그런 경우가 많이 있어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실체가 명확하게 드러난 사례를 찾기는 힘들다”며 “미술계에서는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겠냐는 속담에 무게를 두고 있는 편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유통상에 은밀하게 거래되는 측면이 많고 개인간 거래가 신고 되는 것도 아니며, 금액 자체가 고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소장자나 구입자를 밝히지 않는 게 관례기 때문”이라며 드러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홍경한 편집장은 “본인이 직접 사는 경우는 드물고 고가의 경우는 신분을 노출하지 않고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며 “갤러리에서 대신 사 주고 누구에게 갔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 문제가 되고 있다”고 밝혔다.
홍경한 편집장은 “미술품을 재화 축적의 수단으로 보거나 하는 천박한 마인드가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학동 마을’ 사건 같은 경우 두 못난 사람들의 문제이고 그림은 죄가 없다”며 “미술인들이 어려운 상황이 있는데 이런 사건으로 인식이 왜곡되고 미술계가 마치 검은 동네인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용혁 기자dra@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