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 핫이슈 '세종시
정부-與, 원안 수정 교육ㆍ과학중심도시로 바꿀 수도
고하승
| 2009-10-18 16:31:48
야권, '9부2처2청' 원안 추진위해 당력 총동원키로
내년 지방선거의 최대 이슈는 세종시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여당이 사실상 세종시 `9부2처2청 이전' 원안에 대한 수정 방침을 굳힌 채 후속 작업에 본격 나섰기 때문이다.
실제 18일 현재 세종시 문제에 대해 정운찬 국무총리가 총대를 메고 청와대와 한나라당이 측면지원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즉 정 총리가 대안을 제시하면 여론수렴을 거쳐 정부입장을 최종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정 총리는 그동안 인구 50만명 규모의 세종시에 행정기관만 이전하게 되면 주말 공동화 현상으로 `유령도시'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족기능을 갖춘 도시가 돼야 한다는 소신을 펴 왔다.
따라서 행정복합도시가 아니라 교육.과학.비즈니스 중심의 도시 등 전혀 새로운 형태의 도시로 바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에서 이 문제가 핫 이슈로 부각되면서 이 문제는 충청권과 수도권에 판도 변화를 가져 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 정치권에서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이 수도권 지역의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세종시를 사실상 백지화 하는 형태로 법안을 바꾸는 쪽으로 진행시킬 확률이 높다는 게 정치권의 일반적인 견해다.
한 정치 평론가는 “서울과 경기 인천에서는 행정도시 건설에 반대하는 여론이 높다”며 “수도권 민심을 달래기 위해 세종시를 사실상 백지화시키는 전략으로 나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 현재 분위기를 볼 때 청와대나 한나라당이 대놓고 나서지는 못하지만 내심 `원안수정'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여권 내부 충청권 인사들과 박근혜 전 대표 등 친박 측은 이에 대해 반대하고 있다.
따라서 한나라당이 당론으로 이를 추진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특히 민주당과 자유선진당 등 야권이 세종시 원안 추진을 위해 당력을 총동원키로 함에 따라 여야 갈등이 촉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도 문제다.
실제 야권은 재보선이 끝난 뒤 본격적인 대국민 홍보를 통해 세종시 수정이 다른 지역의 혁신도시 사업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을 집중 부각시킬 예정이다.
민주당과 선진당은 야당 공조 뜻까지 밝히고 있는 마당이다.
따라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수도권 표심을 노린 여권의 세종시 백지화 방침이 얼마나 탄력을 받을지는 미지수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