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원안 사수'

총대멘 親朴-親盧

고하승

| 2009-11-15 13:59:08

親朴 "도리와 명분따라 원안대로 가야…성공여부 정부 의지에 달려"
親盧 "盧 전 대통령 업적이자 대한민국 숙원…반드시 원안 지켜낼 터"

이명박 대통령과 정운찬 총리, 한나라당내 친이 그룹 등 당정청이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세종시를 사실상 백지화 하려는 움직임에 맞서 한나라당 친박(친 박근혜) 진영과 친노(친 노무현) 진영이 '세종시 원안'사수에 나섰다.

그러나 친박 진영은 ‘도리와 명분’에 따라 ‘원안’대로 가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친노 진영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업적이자 대한민국의 숙원이기 때문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어 미묘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친박= 한나라당 친박계 이정현 의원은 “지방의 인재와 공장들이 수도권으로 집중하는 것이 국가 백년대계는 아닐 것”이라며 “(세종시 성공은) 전적으로 정부의 의지에 달려 있다. 부족한 것은 효율도 자족률도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도리와 명분 모두에서 원안대로 가야 한다”며 “도리는 십 수개월간 수십 차례의 여야 협의로 결정된 사안이란 점과 새 정부에서도 이의 없이 2년간 예산이 편성·집행돼 왔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정부의 솔선수범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원안에 자족기능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정부 부처 9개만 이전한다면 당연히 부족하다. 그러나 현행 특별법에도 명시하고 있고, 지금까지 정부가 추진해온 것도 오직 자족기능 보완 작업이었다”며 “정부는 수백개의 자족기능 보완과 신도시 성공을 위한 용역을 의뢰했다. 새롭게 추진한다는 내용은 그 복사본일 뿐”이라고 평가절하했다.

또 이 의원은 세종시 문제에 대해 “대통령과 정부·여당의 신뢰가 걸린 문제고, 균형발전과 수도권 집중완화 포기냐, 아니냐의 문제”라면서 “공론화 단계에서 여당과 국무위원과 국회, 국민은 없었다. 정치권이 소용돌이에 빠지고 정부·여당에 대한 불신이 거론되고 국민 간 갈등과 분열을 촉발시킨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앞서 친박계인 이학재 의원은 지난 12일 청와대 대통령실 국정감사에서 "(세종시 같은) 중대사를 대통령과 상의 없이 불쑥 꺼냈다면 총리에 임명될 자격이 없다"며 정운찬 총리의 자질론을 거론했는가 하면 성윤환 의원은 "(정 총리가) 청와대와 조율 없이 원안 수정을 언급했다는 것은 납득이 안 된다. 어떤 정치학자는 (이명박 대통령이) 차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승부수를 던진 것이라고 한다"고 ‘박근혜 전 대표를 겨냥한 노림수’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 친노 진영에서는 민주당 안희정 최고위원이 당 `세종시 원안추진 촉구 대책위' 공동위원장을 맡아 세종시 수정 저지에 나섰다.

실제 그는 지난 7∼14일 충청권 16개 전 시.군을 돌며 `세종시 백지화 저지'를 위한 서명운동 등 길거리 홍보전을 벌였다.

이와 관련 안 최고위원은 "세종시는 노 전 대통령의 업적이자 대한민국의 숙원으로, 여권이 대선에서 충청표를 얻기 위한 선거공약에 불과했다고 폄하하는 것은 노 전 대통령을 두 번 죽이는 일"이라며 "반드시 원안을 지켜내겠다"고 의지를 드러냈다.

범친노계 모임인 `시민주권모임'(대표 이해찬)도 오는 17일 충남 연기군에 총집결, 세종시 문제에 대한 비상대책회의를 갖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최근 친노신당인 국민참여당에 입당한 유시민 전 복지부 장관도 지난 9일 부산에서 열린 한 강연회에서 "(이 대통령은) 결국 세종시법을 바꾸지 못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나타낸 바 있다. 특히 유 전 장관은 강연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세종시 문제를 언급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