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특혜관련 비수도권 도시들 불만, 대화로 해결할 수 있다”
정의화 세종시 특별위원장 주장
문수호
| 2009-11-23 12:45:06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이 구체화되면서 지나친 ‘세종시 특혜’에 지방 도시들의 부정적 여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 세종시 특별위원회 정의화 위원장은 “공식 발표가 아니기 때문에 특혜로 단정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지금 기업들 이전을 통해서 자족도시를 건설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골자가 될 수밖에 없어 특혜 우려도 있기에 비수도권의 이야기를 들어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23일 오전 평화방송라디오에 출연해 이같이 말한 뒤, “결국 투자라는 게 어차피 여러 가지 혜택을 줄 수밖에 없는데 그 혜택이 다른 나라로 보내는 것도 아니고 국내에 있는 것이니 서로 이해도 필요하다”며 “비수도권에서는 세종시에 특혜를 줌으로써 우리에게 올 기업이 안 오는 것 아니냐는 불안감도 있을 수 있지만, 그런 것은 얼마든지 대화로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세종시에 많은 혜택을 줄때 우려되는 소위 ‘블랙홀 현상’에 대해 “지금 우리나라는 그동안 몇 십년의 경영을 수도권, 서울 중심으로 운영해 와서 비수도권이 가지는 박탈감은 엄청나다. 원론적으로 볼 때는 나라가 골고루 발전해야 하지만 각 층마다 균형을 딱 다루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최소한 나라의 미래를 위해 남해안이나 부산, 여수, 목포 같은 도시에 대한 그간의 약속들은 멈춰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또한 정 위원장은 최근 정운찬 국무총리가 세종시를 기업도시에서 ‘녹색 과학 지식 도시’, ‘교육 산업도시’ 등으로 부르는 등 말 바꾸기를 계속하고 있는 것에 대해 “그런 표현을 바꾸는 것도 어떻게 보면 공주, 연기 지역을 명품도시로 만들어 보겠다는 의욕이 있는 것 같다”면서도 “조금 더 정돈해서 국민들이 헷갈리지 않도록 정교하게 해주길 바란다”는 바람을 표현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부안에 대해 “현재 이 법(세종시)은 개정할 법은 아니기에 수정안을 가지고 국회에서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 심사하게 될 텐데, 다만 시기적으로 마냥 뒤로 갈 수는 없기 때문에 좀 더 빠른 시일내에 대안을 만들 생각”이라며 “수정안이 중심이 되는 것이 아니고 수정안이 하나의 문제 제기를 하는 방아쇠 역할을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