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일년내내 녹조발생, 서울시는 눈속임 급급

조정식, “오염된 청계천은 4대강 사업의 미래모습” 주장

문수호

| 2009-12-18 13:42:14

[시민일보]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국회가 파행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이명박 대통령의 성공신화로 알려진 청계천이 전 구간 조류발생, 수질악화 등으로 인해 ‘실패작’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당 조정식 의원은 18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명박 대통령의 장밋빛 청사진과 달리 청계천은 현재 조류발생으로 부영양화된 하천으로 판명됐고, 수질 악화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어 생태계가 복원된 하천이 아닌 오염된 하천 그 자체”라며 “오염된 현재의 청계천은 4대강 사업의 미래 모습이자, 수질악화의 예고편”이라고 주장했다.

조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청계천은 전 구간에 걸쳐 일년내내 (녹조)조류가 발생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007년 이후 18회에 걸쳐 사람이 직접 하천 바닥에 들어가 빗자루로 조류를 쓸어내는 청소(2007년 3회, 2008년 8회, 2009년 7회)를 했지만, 잦은 하상청소는 하천 생태계를 훼손하고, 부착조류가 떠내려가면서 투명도와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등의 부작용이 있어 빗자루 청소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또한 지난 3월 3톤, 12월에는 15일까지 3일간 야간에 20톤의 마사토(산모래)를 살포하는 등 부착조류를 덮어 녹조가 없어진 것 같이 보이게 하는 미봉책마저 쓰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관련 조 의원은 “서울시가 조류 제거를 위해 빗질과 마사토를 뿌리는 등 2007년부터 2009년 12월까지 3년간 연인원 2147명의 인력을 투입하였고, 8308만원의 혈세를 사용했다”며 “그러나 수질오염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청계천을 찾는 내외국인은 더욱 줄어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누차 지적해 왔듯이 4대강 사업의 준설과 보 설치 등으로 수질이 더욱 악화되는 것은 명약관화하다”며 “한번 망가진 강을 다시 회복시키는데 너무나 많은 고통과 오랜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더욱 신중해야 한다. 당장 4대강 사업을 중단하고 사업 시행 여부에 대하여 객관적인 검증 절차를 밟아 국민의 뜻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수호 기자 msh@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