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경선 방식으로 내홍
지도부, “50%는 여론조사”...비주류, “모바일 투표하자”
고하승
| 2010-03-09 15:57:17
[시민일보]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이 계파 갈등을 빚는 것 못지않게 민주당도 갈등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민주당은 광역자치단체장선거 후보자 경선방식을 놓고 내홍이 심각하다. 당 지도부가 시민여론조사 50%, 당원투표 50%로 후보자를 뽑는 이른바 국민참여경선방식을 도입하려고 하고 있으나 비주류측이 그 방식에 강력반발하고 나선 것.
특히 최근에 서울시장으로 출마를 선언한 이계안 전 의원과 경기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이종걸 의원 등 수도권 광역단체장 민주당 예비후보들이 연 이틀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지도부가 기득권 밀실정치를 하고 있다며 강력 비판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 경선출마를 선언한 이종걸 의원은 9일 “당의 경쟁력도 좀 부족한데 후보경쟁력은 아주 떨어져 있다. 그러면 후보경쟁력을 높이는 노력들을 해야 되지 않겠는가, 그러자면 국민의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제 당이 국민 속으로 들어가야 된다, 그 방법은 국민경선뿐이다, 그래서 지지자들로부터 이 붐을 일으키고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방법인데 여론조사방식은 그것이 아니다. 1위, 상대적으로 인지도 높은 특정후보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한 방식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힌 후 “당원이 주로 참여하겠지만 당원 플러스 지지자들이 광범위하게 참여하도록 해가지고 국민경선을 통해서 붐을 일으켜야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국민 50%를 여론조사로 하겠다는 것은 그 경선과정에 새로운 바뀜이라든지 역전이라든지 반전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있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박주선 최고위원은 같은 날 KBS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시·도지사 공천은 국민경선 또는 국민참여경선을 원칙으로 한다고 되어 있다. 그 중에 국민경선은 현실적으로 현장 투표가 어렵기 때문에 여론 조사나 인터넷 투표 등 모바일 투표를 할 수 있고, 국민참여경선을 하는 경우는 당원 50%, 비당원 50%해서 전체를 여론 조사하는 방법이 있다. 당원은 현장 투표를 하고 나머지 50%의 비당원에 대해서는 여론 조사하는 방법, 그리고 당원·비당원 모두 현장 투표를 하는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 중에 하나의 방법을 선택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종걸 의원과 이계안 전 의원이 100% 국민참여경선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당헌상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국민경선을 하는 것이 맞다”면서도 “그런데 현장 투표는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여론 조사를 하게 되는데, 여론 조사를 하게 되면 부정확성뿐만 아니라 흥행과 열기가 고조되기 어려워서 문제가 조금 있다. 그분들은 인터넷 투표를 하면 좋지 않으냐 말씀 하시는데, 인터넷 투표로 대통령 선거 같은 경우에는 전국 주소를 어디에 두든지 대한민국 유권자이면 참여가 가능한데, 경기지사나 서울시장 이런 경우는 그 지역에 선거권을 갖고 있는 사람이 투표해야 되는데, 그 파악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