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심위 모든 심의내용 공개하자"

"이성헌의원 ""심사 심도 있게 할 것이고 밀실공천 오해도 안받아"""

고하승

| 2010-03-10 17:24:37

[시민일보] 한나라당내 친박 이성헌 의원은 10일 “이번 6.2지방선거 공천심사위원회에서는 모든 심의내용을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날 친박계 허태열 최고위원이 “이성헌 의원을 공천심사위원회에 넣지 않으면 친박 측은 공심위에서 철수하겠다”고 발언했는가하면, 친이계 정병국 사무총장은 “친박측이 계속해서 이성헌 의원을 고집하면 사무총장직을 그만두겠다”고 맞받아치는 등 이성헌 의원이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당초에 친박 쪽에 배정돼 있는 인원을 주류 측에서 임의로 선별해서 심사위원을 결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보다 투명하고 공정하게 심사할 수 있는 그런 안전장치를 확실하게 만들어야 된다”고 강조했다.

현재 한나라당은 공심위 구성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당초 15명의 심사위원 중 친박계 쪽에 3명을 할당할 예정이었으나, 친박 측이 불만을 토로함에 따라 전날 안상수 원내대표가 친박계 1명을 더 증원해 친박계 몫을 4명으로 하는 방안을 제안 했다.

대신 경북 지역의 중립지대에 있는 의원 숫자를 한명 줄이기로 했다.

그러나 한 명 더 늘어나는 사람을 이성헌 의원으로 할 수는 없다는 게 친이 측의 강경한 입장이다.

이성헌 의원은 “그래도 친이계는 여섯 분”이라며 여전히 친박계가 숫자에서 밀린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이 의원은 “숫자 자체에서 큰 의미를 뒀던 건 아니다. 공천심사부분이 얼마나 공정하고 투명하게 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를 그동안에 제기해왔던 것이다. 이미 지난 18대 총선 때 공천이 얼마나 잘못됐는지를 경험한 바가 있기 때문에 그런 잘못을 다시 저질러선 안 된다 하는 취지에서 문제제기했던 거”라고 밝혔다.

그는 자신이 꼭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특히 이 의원은 공천 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을 강조했다.

그는 “심사위원 구성도 중요하지만 공심위 운영이 중요하다”며 “18대 공천이 그 한 예가 되겠지만 사전에 공천의 주요골격이나 핵심적 내용이 이미 다른 곳에서 결정이 돼가지고 공심위가 요식행위로 존재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런 식으로 공천이 되면 안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따라서 이번 공심위에서는 모든 심의내용을 공개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싶다. 그렇게 되면 심사내용을 보다 심도 있게 할 것이고 또 밀실공천이란 오해도 받지 않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이성헌 의원은 안된다’는 친이 측의 강경한 태도에 대해 “제가 17대 국회의원 총선 당시 공천심사위원 한 적이 있었다. 그때 당시 서울지역 48개 지역 심사를 하는데 심사위원 중에서 서울에 있는 홍모 의원께서 심사 도중에 이렇게 얘기했다. 서울 동북부 지역 10개 지역인데 이 지역 심사는 내가 잘 알고 있으니까 나한테 맡겨라, 내가 다 알아서 하겠다, 그렇게 얘기한 적이 있었다. 제가 그때 ‘그게 말이 되느냐? 어떻게 심사위원들이 있는데 그걸 혼자서 다 할 수 있다고 그렇게 말할 수 있느냐? 이렇게 문제를 제기해서 격렬하게 논쟁한 적이 있었다”며 “저는 심사위원으로서 당연하게 제기해야 할 문제제기를 했다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2009년도 4월에 보궐선거를 다섯 군데 치렀지만 다 졌다. 그때도 전략공천 지역을 선정해서 전략공천을 했는데 그때 그 후보들 얼굴도 심사위원들이 못 보고 공천했다”며 “이런 식의 공천해선 안 된다고 얘기를 한 것이 저였는데 만약 이게 이유라면 저는 참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한편 공심위는 정병국 사무총장을 위원장으로 남경필 차명진 유정복 안홍준 김선동 장제원 조원진 안효대 배은희 조윤선 의원과 한대수 제2사무부총장, 곽진영 건국대 교수, 이연주 한국청년유권자연맹대표, 진영재 연세대 교수 등 원외 인사 15명으로 구성됐다.

이 중 친박계 의원들은 유정복, 안홍준, 김선동, 조원진 의원 등 4명이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근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