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공심위 구성부터 ‘삐걱’
이성헌 “주류 10명 대 비주류 5명”
고하승
| 2010-03-11 11:58:38
정병국 “계파 구분 없이 구성했다”
[시민일보]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은 공천심사위원 구성을 둘러싼 친이-친박계 간 갈등의 골이 점차 깊어지고 있다.
당내 친박 이성헌 의원은 11일 공심위 구성에 대해 “친이계 6명 친박계 4명으로 분류하지만 사실은 냉정하게 보면 주류 10명, 비주류 5명”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이 같이 말한 후 “비주류는 친박계 4명하고 외부인사 중에서 한 명 정도”라고 밝혔다.
특히 그는 “중앙공심위구성에서도 소란이 있었지만 지금 16개 시도별로 공천심사위를 구성해야 되는데 서울 지역과 경기도 지역이 상당히 심각한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의원은 “서울 지역 같은 경우에는 권영세 시당위원장이 중립지대에 있는데 그분이 중립적인 위원장을 어려운 가운데서 내정을 해서 오늘(11일) 운영위원회에서 처리하려고 하는데 친이계 의원들이 반대하고 있다. 비토하고 있는 거다. 다른 사람을 세우려고 하고 있다”며 “또 경기도 같은 경우는 원유철 위원장이 선정한 공심위원 7명의 현역 의원 중에서 친박계는 1명 밖에 들어가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주류 측에서 입맛에 맞는 대로 위원장도 교체하고 구성원도 임의로 배정한다면 공정하고 투명한 심사를 할 수 있겠느냐”며 “회의적”이라고 우려했다.
따라서 이 의원은 “우선 심사과정을 투명하게 전면 공개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친이계 정병국 사무총장은 같은 날 불교방송 ‘아침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공천과정은 투명하게 할 거다. 그래서 첫 번째 회의 때부터 모든 것을 기록 했고 또 그것을 공천심사위원회가 끝나면 바로바로 언론에 과정을 상세하게 알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초 공심위 구성을 친이계 6명, 친박계 3명, 중립 3명, 외부인사 3명으로 구성할 예정이었다가, 중립 인사를 한명 줄이는 대신 친박계를 한명 넣었다는 분석에 대해 “계파구분 없이 안을 만들어냈는데 언론에서 구분을 해낸 거”라고 일축했다.
그는 공천 방식에 대해 “한나라당은 당헌당규를 바꿔 모든 선거에 경선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다만 이후보가 없다든지 또는 단수 후보로 등록할 경우엔 전략지역으로 선포할 수 있다. 그러나 기본 원칙은 경선이다”라고 거듭 경선을 강조했다.
특히 정 총장은 부패-비리전력자에 대한 대폭적인 물갈이를 예고했다.
그는 “그동안 정치권이 불신 받았던 이유는 범법자들, 파렴치범들, 사회적으로 통념적으로 동의할 수 없는 분들이 사회적 지도자가 되겠다고 나서, 그런 사람들이 아직까지도 정치권에서 활보하기 때문”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이번에 엄격한 기준에 의해 심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예를 들어 부정부패에 연루됐다든지, 성 범죄에 해당됐다든지, 파렴치범이었다든지 하는 부분은 아예 공천 신청조차 받지 않으려고 가이드라인을 만들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이영란 기자 joy@siminilbo.co.kr
[ⓒ 시민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